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열흘째를 맞았습니다.
설레는 수학여행길에 오른 고교생 등 승객 185명(25일 4시 현재)은 숨졌고, 117명은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온 국민은 무력감에 빠졌고, 누구를 꼭 집어 비난할 수 없을 만큼 총체적으로 부실한 대응에 사망·실종자와 그 가족에게 누구도 떳떳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세월호는 지난 15일 오후 9시 안개로 예정보다 2시간 30분 늦게 인천항을 떠났습니다.
다음은 악몽으로 남은 10일간의 기록입니다.
▲ 16일
- 오전 8시 49분.
세월호 오른쪽으로 45도 급변침 후 급감속.
- 오전 8시 52분.
전남소방본부 승객 최모(사망 추정)군으로부터 첫 신고 접수.
"배가 기울고 있어요".
- 오전 8시 58분.
목포해경 첫 신고 접수 시각.
정부 발표 자료 등에는 사고 발생 시각.
- 오전 9시 25분.
진도 해상교통관제선테(VTS) 세월호에 탈출 지시.
"선장이 판단해서 승객 탈출 결정하라".
- 오전 9시 45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가동.
- 오전 10시.
박근혜 대통령 "단 한명의 인명피해도 없도록 구조에 최선 다하라" 지시.
- 오전 11시 30분.
중대본 "161명 구조" 확인.
- 오전 11시 35분.
첫 사망자 박지영(선박 매니저)씨 발견.
- 오후 1시 30분.
중대본 "구조 368명, 사망 2명" 발표.
- 오후 4시.
중대본 "탑승자 458명, 구조자 164명" 정정.
▲ 17일 - 오전 1시.
중대본 "전체 승선자 475명, 구조자 179명, 실종자 290명, 사망 6명" 발표.
- 오전 9시.
선체 확인 총력.
- 오전 9시 30분.
검경 합동수사본부 사고 원인을 '무리한 변침'으로 잠정 결론.
- 오후 4시 20분.
박근혜 대통령, 실종자 가족 모여있는 진도체육관 방문.
- 오후 9시 30분.
중대본 "179명 구조, 278명 실종, 18명 사망" 발표
▲ 18일 - 새벽.
수사본부, 청해진해운 인천 사무실·제주 사무소(본사), 선박 개조업체 등 압수수색.
- 오전 3~10시.
해양크레인선 3척 사고 현장 도착.
- 오전 6시.
민간잠수사 자처 홍모씨 MBN 인터뷰에서 "해경이 민간 잠수부 진입 막았다" 주장.
- 오전 6시 20분.
경기도교육청, 단원고 학생 325명 중 11명 사망·교사 14명 중 3명 사망·실종 247명 발표.
- 오전 10시 45분.
선내 공기 주입 시작.
- 오전 11시.
군(軍) 현장구조지원본부, 리프트 백(공기주머니) 설치하고 잠수사를 '릴레이식'으로 투입.
- 오후 3시38분.
구조팀, 2층 화물칸 문 열고 선체 첫 진입.
화물에 막혀 10여분 만에 철수.
- 오후 4시.
단원고 교감 진도체육관 인근 야산서 목매 숨진 채 발견.
"모든 책임 지고 갑니다" 유서
- 저녁.
수사본부, 선장 이준석씨 등 주요 승무원 3명 영장 청구.
- 오후 10시.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승선자 총 476명·구조자 174명으로 정정.
▲19일 - 오전 2시.
광주지법 목포지원, 이준석 등 3명 영장 발부.
- 오전 5시50분.
4층 유리창 통해 사망자 3명 확인.
- 오후 3시.
탑승자 476명 중 사망 29명·실종 273명·구조 174명.
- 오후 5시.
가이드라인 3개 설치해 선체 진입 시도.
- 오후 11시50분.
객실 진입 성공.
단원고생 시신 3구 수습.
▲ 20일 - 오전 2시.
세월호 선원 4명 추가 체포.
- 오전 7시께.
실종자 가족 100여명, 정부의 조속 대처를 촉구하기 위해 청와대로 가려다 진도대교 인근 왕복 2차로에서 경찰과 대치.
- 오전 10시.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시신 수습한 공식 사망자 수 49명 발표.
- 낮 12시9분.
선내 진입 루트 5곳 개척.
수색팀 선내 진입 재시도.
- 오후.
정홍원 총리, 실종자 가족 비공개 면담
- 오후 6시30분께.
정부, 안산·진도 특별재난지역 선포
- 오후 9시쯤.
안전행정부 송모 국장 보직 해임.
참사 현장 방문해 기념촬영.
- 오후 10시 10분.
'가짜 잠수사' 홍모씨, 전남경찰청 자진출석.
곧바로 체포.
▲ 21일 - 오전 4시 30분.
자살한 단원고 교감 발인.
- 오전.
수사본부, 항해사 3명·기관장 체포 - 오전 10시.
박근혜 대통령,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위기관리 난맥상·공무원 복지부동 질타.
"(세월호 안전점검 통과 같은) 이런 일들을 선사를 대표하는 이익단체인 해운조합에서 해왔다는 것도 구조적으로 잘못된 것 아니겠느냐".
- 오후.
수사본부 "세월호 관련, 출국금지 44명으로 확대" 발표
- 오후 9시30분.
3~4층 선실서 시신 다수 발견...사망자 87명으로 늘어 - 밤.
수사본부, 항해사 등 4명 영장 청구
▲ 22일 - 오전 10시.
국세청, 천해지 본사(경남 고성군) 특별세무조사
- 오전 10시 30분.
항해사 등 4명 영장실질심사(광주지법 목포지원)
- 청해진해운 관련자 30여명 추가 출국금지.
- 오후 4시.
경찰, '가짜 잠수사' 홍모씨 영장 신청.
- 오후 항해사 등 4명 영장 발부
▲ 23일
- 오전 9시.
안산 임시 합동분향소 설치 - 오후 4시.
북한, 위로 전문 보내와(강수린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장 명의) - 저녁.
중대본, 재난 매뉴얼 점검 전부처에 지시
▲ 24일
- 오전.
단원고 수업 재개
- 오전 11시.
부산지검, 한국선급 본사(부산 강서구) 압수수색
- 오전 11시 50분.
수사본부, 세월호와 '쌍둥이 배' 오하마나호 압수수색 - 오후.
광주지법 목포지원, 기관사 등 4명 구속영장 발부.
승객 두고 탈출한 15명 중 11명 구속.
4명은 피의자 입건)
- 오후.
기독교복음침례회, 기자회견.
"이준석은 교인 아니다"
- 밤.
해수부 장관·해경청장, 실종자 가족에게 끌려가 항의받음.
▲ 25일 - 오후 3시.
합수부 전문가 자문단 첫 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