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들으신 대로 지금 크레인이 도착해서 인양 작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만, 인양을 그냥 할 수 있는 건 아니고 정부는 가족들의 동의를 모두 받은 뒤에 인양 작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지현 기자가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2010년, 천안함 뱃머리 부분이 인양되는 모습입니다.
일반적인 선박 인양 과정으로, 바닥에 비스듬하게 가라앉은 선체에 잠수요원들이 쇠사슬을 감아 크레인으로 바로 세운 뒤 끌어올리고, 내부의 물을 빼내 무게를 최소화한 뒤 바지선에 실어 육지로 옮기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모든 선박이 같은 방법으로 인양되는 건 아닙니다.
침몰 상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뒤집힌 선체를 바로 세울지, 체인을 어디에 어떻게 감을지 크레인은 몇 대를 어떻게 운용할지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세월호 선체는 6천 825톤으로 천안함보다 다섯 배나 무겁고 화물을 싣고 있고 물까지 차 있어서 무게는 1만 톤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 두 동강 난 천암함은 뱃머리와 꼬리 부분을 따로따로 인양했지만 세월호는 길이 146미터 선체를 한꺼번에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크레인 여러 대가 균형을 맞춰 물 밖까지 끌어올려 바지선에 옮겨 싣는 게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사고 현장 투입이 결정된 '플로팅 도크'라는 장비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플로팅 도크'는 해상에서 배를 건조할 때 쓰거나, 건조된 선박을 물에 띄울 때 쓰는 장비로 길이 335미터, 폭이 70미터에 이릅니다.
길이 146미터 폭 22미터 세월호를 충분히 싣을 수 있는 규모입니다.
해저 17미터까지 내려갈 수 있고 무게 8만 톤까지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플로팅 도크가 바닷속으로 내려가면 크레인이 세월호를 끌어올려 도크 위에 올려놓고 도크가 물 위로 올라오는 방식이 가능합니다.
세월호는 규모가 크고 침몰 해역의 조류가 강해 선체를 쇠사슬로 묶는 데에만 적어도 한두 달이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