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침몰 여객선 구조현황 동영상' 사칭 스미싱 주의

'침몰 여객선 구조현황 동영상' 사칭 스미싱 주의
세월호 침몰 사고에 국민의 관심이 집중된 상황을 노린 스미싱, 즉 문자사기가 등장해 주의가 요구됩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세월호 침몰사고 하루 만인 오늘(17일) 오전 이번 사고를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발송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국민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해당 스미싱 문자에는 '여객선(세월호) 침몰사고 구조현황 동영상'이라는 문구와 함께 인터넷주소가 적혀있습니다.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에 악성앱이 설치되고, 이 악성앱을 통해 기기정보, 문자, 통화기록 등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스마트폰에 설치된 정상 뱅킹앱을 가짜 뱅킹앱으로 교체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추가 설치된 악성앱으로 사용자의 금융정보가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미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인터넷서비스사업자를 통해 발견한 악성앱의 유포지와 정보 유출지를 차단하고, 백신개발사에 악성앱 샘플을 공유해 백신을 개발하도록 조치했습니다.

두 기관은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려면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의 인터넷주소를 클릭하지 말고, 의심스러운 문자는 즉시 삭제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으면 118번으로 신고하면 피해예방법 등을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세월호 사고를 둘러싼 미확인 정보가 SNS에서 전파되고 있어 누리꾼들의 자정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세월호 사고 관련해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정보들이 SNS에서 생성·확대되면서 유가족 등 슬픔에 잠긴 국민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주고 있다며 누리꾼들의 상호 적극적인 비판과 자정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현재 인터넷과 SNS에는 자극적인 표현을 사용해 세월호 사고 현장을 묘사하거나, 이번 사고를 둘러싼 음모론이 제기되는 등 부정확하거나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심의위는 SNS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면서 익명성과 빠른 전파성을 악용해 무차별적으로 괴담성 정보가 유통되고 있어 피해 확산이 우려된다며 SNS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불법 정보를 발견하면 심의에 착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