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유치원'에 아이를 보내는 학부모들 많으실 겁니다. 그런데 영어 유치원 대부분 실제론 어학원인데, 이렇게 유치원이나 학교를 뜻하는 영어를 써서 마치 유치원인 것처럼 영업하고 있습니다.
1년에 1천만 원 넘는 학비로 사교육의 온상이 되고 있는 변칙 영어 어학원 실태를 노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어학원입니다.
학원 간판에는 '스쿨'이라고 크게 써 있지만, 정작 '어학원' 표시는 보일 듯 말 듯 합니다.
학원 이름에 '학교'나 '유치원'을 쓰는 건 지난 2012년 법으로 금지됐습니다.
교육청은 학교와 유치원의 영어표기인 스쿨과 킨더가든의 사용도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법 시행 이전에 설립된 학원들은 간판을 바꾸지 않고 버티는 겁니다.
교육청은 아예 손을 놓고 있습니다.
[교육청 관계자 : 신규로 들어올 때는 (스쿨 등 명칭) 못 쓰게 유도하지만, 기존에 있는 학원들 이런 경우에는 그거 이름을 바꾸라든가 그렇게까지는 안 하고 있어요.]
교습과목도 불법투성이입니다.
말만 영어학원이지, 교습과목으로 등록하지 않은 체육수업까지 하고 있습니다.
[학원 관계자 : 일주일에 한 번 정도씩 외부 체육 업체에서 오셔가지고 간단하게 체육 활동 같은 거 원에서 이렇게 진행하고요.]
이런 변칙 어학원들은 서울에만 220곳이 넘습니다.
대학 학비보다 더 많은 교습료를 받는 곳도 많습니다.
[학원 관계자 : 95만 원. 이거는 6세 아이들 (비용)이에요. 그런데 7세는 99만 원이요.]
조사결과 이런 영어학원의 평균 수업료는 89만 원이었고, 비싼 곳은 200만 원에 육박했습니다.
[학부모 : 여력이 되시는 분들은 고민을 안 하시고 영어 유치원 보내시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좀 무리를 해서라도….]
당국의 무관심 속에 기형적인 영어 유치원이 판치는 사이, 내실 있는 유치원은 점점 설 땅을 잃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신동환, 영상편집 : 최은진, VJ : 신소영)
(SBS 비디오머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