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투표 이미 하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번 대선은 후보가 열다섯 명이나 돼서 투표용지에 도장 칸이 많습니다. 잘못 찍을 가능성도 더 커졌는데, 그만큼 꼼꼼하게 보고 투표하셔야 됩니다.
전병남 기자입니다.
<기자>
광주 광산구 사전투표장에서 기표를 마친 A 씨가 갑자기 투표용지를 바꿔 달라고 투표 관리관에게 요구했습니다.
지지하지 않는 후보에게 실수로 투표 도장을 찍었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 : 안경을 안 쓰고 왔는데… (기표란이) 시야에 잘 안 들어와서. 본인이 원하는 후보자가 아닌 곳에 기표가 된 것이어서…]
관리관은 한 사람당 한 장의 투표용지만 주도록 한 공직선거법을 근거로 투표용지를 교환해 주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A 씨는 자신의 투표용지를 찢어버렸습니다.
표는 무효가 됐고, 훼손 경위에 따라선 A 씨는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직선거법은 투표용지를 훼손하면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선관위는 기표를 잘못했을 경우 바로 잡을 방법은 사실상 없다며, 투표도장을 찍을 때 신중을 기해줄 것을 유권자들에게 당부했습니다.
또, 후보별 기표란 사이 여백이 아예 없다는 말이 SNS 상에 퍼졌는데, 착시현상일 뿐 사실이 아니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이번 대선 개표는 투표용지가 길어지는 바람에 지난 대선에 비해 투표용지 분류에 1.6배 정도의 시간이 걸릴 거라고 선관위는 전망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