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기상청 예보가 여러 차례 어긋나면서 우리 기상청을 못 믿겠다며 해외 기상예보를 보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 기상청에 이어서 일본의 예보도 우리나라 날씨가 더 정확하다는데, 사실을 확인해 봤습니다.
박원경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의 한국 기상 예보가 우리 기상청보다 정확하다, 인터넷과 SNS에 돌고 있는 내용입니다.
실제로 그럴까요?
일본 기상협회의 홈페이지입니다.
우리나라 각 도시의 주간 날씨를 예보하고 있습니다.
이것과 비슷한 게 우리 기상청의 중기예보인데, 3일 뒤부터 10일 뒤까지 8일간의 날씨를 예보합니다.
이 기준에 맞춰, 두 곳 중 어느 곳이 서울에 대한 예보 정확도가 높은지 강수 맞힘률, POD라는 지표로 비교해 봤습니다.
이 지표는 예보 정확도를 판단할 때 흔히 사용되는 지표인데, 실제로 눈이나 비가 내리는 걸 맞힌 비율을 말합니다.
100%에 가까울수록 예보가 정확합니다.
눈이나 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오는 1, 2월과 6, 7월 넉 달간, 일본기상협회의 강수 맞힘률은 62%, 우리 기상청은 54%로 일본 쪽이 더 높았습니다.
지난달만 따로 떼서 봤는데, 87% 대 73%로 역시 일본 쪽이 더 높았습니다.
10번 중 1번꼴로 일본 쪽이 서울 날씨를 더 많이 맞힌 셈입니다.
왜 이럴까요?
기상 예보 정확도는 관측 자료 품질이나 예보관의 역량보다는 예보 모델 성능에 좀 더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중기 예보 정확도는 예보 모델의 성능이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때문에 기상 전문가들은 일본 쪽 강수 맞힘률이 높은 건 일본 쪽 예보 모델 정확도가 높은 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다만, 지난 4월부터 영국형 모델과 함께 가동 중인 한국형 예보 모델이 더욱 안정화되면 정확도가 높아질 거라는 기대도 함께 내놓고 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