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럼프, 파리협정 탈퇴…기후 위기 대응 우려

트럼프, 파리협정 탈퇴…기후 위기 대응 우려
▲ 각종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취임하자마자 파리 기후변화 협정 탈퇴에 서명하면서 국제 사회의 기후 위기 대응이 다시금 도전에 직면하게 됐습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위기가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세계 온실가스 배출국 2위인 미국이 파리 협정 탈퇴를 선언한 것은 "해롭고 수치스러운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기후 변화 회의론자인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파리 협정에서 탈퇴하는 행정명령과 유엔에 보내는 통보 서한에 서명했습니다.

파리 협정은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에서 채택된 국제 협정입니다.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섭씨 2도 이하로 유지하고, 가능하면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걸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국가별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설정해 이행하기로 했습니다.

205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Net Zero Emissions)을 달성하자는 장기 목표도 세웠습니다.

전 세계 195개국이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미국은 2016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 시절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듬해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 협정이 기업 활동에 방해된다며 협정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다만 협정 발효(2016년 11월4일) 후 3년이 지난 이후에만 탈퇴 요청이 가능하고, 유엔 공식 통보 후 1년 뒤 효력이 발생한다는 파리 협정 규정에 따라 2020년 11월4일에서야 미국의 탈퇴가 정식으로 효력을 발휘했습니다.

이후 2021년 1월20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파리협정에 복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 협정 탈퇴는 이번에도 '유엔 통보 후 1년' 유예에 따라 2026년 1월까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