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치매 원인은 뇌의 철분 과다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호주 멜버른대학 정신건강연구소 에이튼 박사는 철분이 뇌에서 녹슬면서, 신경세포를 손상 시켜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에이튼 박사는 6년 동안 11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며 뇌의 철분을 제거하는 게 치매증상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치매 주범으로 알려진 뇌 신경세포의 독성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 PET로 측정하고, 뇌에 철분이 얼마나 쌓여 있는지를 MRI로 검사하며 베타 아밀로이드와 철분 수치가 장기적으로 인지기능 저하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 참가자 117명 가운데 56명은 베타 아밀로이드 수치가 높았습니다.
전체적으로 베타 아밀로이드와 철분의 수치가 모두 높으면 인지기능이 급속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아밀로이드 수치는 높은데 철분 수치는 낮은 사람은 인지기능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베타 아밀로이드와 철분 수치가 높은 사람들의 인지기능 저하는 특히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의 철분 수치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들은 또 언어 기능과 연관이 있는 측두엽과 전두엽에서도 철분 수치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에이튼 박사는 "지금까지 베타 아밀로이드를 억제하는 약은 여러 종류가 개발돼 장기간의 임상시험을 거쳤지만 치매를 치료하는 데 실패했다"며, 베타 아밀로이드 이외의 어떤 요인이 있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그 다른 요인으로 뇌의 철분 과다를 지목했습니다.
철분은 체내에서 산소와 결합해 에너지를 생성하지만, 그 과정에서 산화 스트레스라는 부산물이 생겨 세포를 죽일 수 있습니다.
이 연구결과를 근거로 그의 연구팀은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철분 흡착제가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5년에 걸쳐 진행할 계획입니다.
만약, 뇌의 철분 감소가 치매 진행을 지연시킨다는 게 확인된다면 60세 이상 정규 건강검진 항목에 비교적 값싸고 신속하게 결과를 알 수 있는 MRI를 통한 뇌 철분 검사를 추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을 거라고 에이튼 박사는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뇌과학 전문지 '뇌' 최신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