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럼프 北 겨냥 "미군 역대 어느 때보다 강력…선택의 여지 없어"

트럼프 北 겨냥 "미군 역대 어느 때보다 강력…선택의 여지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막강한 군사력을 강조하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다시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우리 군대는 증강되고 있고 역대 어느 때보다 강력해지고 있다. 솔직히 우리는 군사력 급속 증강 이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맥락에서 이 발언을 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동안 북한의 6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비해 잇단 화력시위를 해 왔다는 점에서 사실상 '도발 시 군사력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북한에 보낸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미국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을 저지하기 위해 북핵추진 항모 전단 칼빈슨를 한반도 해역에 급파한 것은 물론, 화학무기 공격을 감행한 시리아 공군기지에 미사일 융단폭격을 가했습니다.

최근에는 '폭탄의 어머니'로 불리는 GBU-43을 아프가니스탄 IS 근거지에 투하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북핵 문제를 해결하라는 압박 메시지도 거듭 보냈습니다.

그는 다른 트윗 글에서, "중국이 북핵 문제와 관련해 우리와 협력하는데 왜 내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이라고 부르겠느냐?"면서,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의 대북압박 노력 약속에 대한 대가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히는 동시에, 북한의 지속적인 핵과 미사일 도발에 맞서 중국이 더욱더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 줄 것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관련해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공약 번복 논란이 일자, 이는 어디까지나 북한 문제에 있어 중국의 협력을 끌어내기 위한 전략적인 움직임이라는 점을 알리는 동시에,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보게 될 것'이라는 언급을 통해 앞으로 북핵 문제 전개 상황에 따라 자신의 이번 결정이 뒤집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시한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기간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비판하며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지난 12일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중국이 몇 개월 동안 환율을 조작하지 않았다. 그들은 환율조작국이 아니다"라고 입장을 180도 바꿨습니다.

이후 지난 14일 정권 출범 이후 처음 발표한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실제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이 아닌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했습니다.

중국도 북한산 석탄 반송과 자국 항공사의 북한행 운항 중단, 북한 관광상품 중단 등 대북압박 수위를 한층 높이며 이전과는 달라진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