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미국의 공화당원이나 민주당원 가운데 자기 아들, 딸이 다른 정당 지지 집안사람과 결혼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했던 비율은 대략 5%였습니다.
그러나 2010년 조사에선 공화당원의 절반이, 민주당원의 30% 이상이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미국인들은 이런 현상을 정치적 양극화의 심화라고 부릅니다.
지금까지의 통념은 소셜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이 이런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킨 주범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엔 인터넷에 많이 노출된 젊은 층보다 인터넷을 거의 쓰지 않는 노년층에서 정치적 양극화가 더 심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스탠퍼드대와 브라운대 공동 연구팀 보고서를 인용해, "1996년부터 2012년 사이에 인터넷을 최소한으로 사용했던 미국의 노년층 사이에서 정치적 양극화가 더 심해졌다"고 보도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치우친 뉴스 기사와 친구들의 당파적 발언을 통해 사람들은 자신의 견해를 강화해왔으며, 미국인의 심각한 정치적 양극화를 초래했다고 지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면서, "그러나 이 통념은 어쩌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조차 뉴요커와의 퇴임 인터뷰에서 "잘못된 정보와 거친 음모론을 확산시키고 어떤 거부감도 없이 상대편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소셜미디어의 경향성이 유권자들을 급격히 양극화로 이끄는 촉매제가 됐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팀이 인터넷 사용량에 따라 응답자들을 분류한 뒤 9개 항목의 정치적 양극화 성향을 조사한 결과, 고령자층에서 양극화 지수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주장했습니다.
1996년부터 2012년까지의 양극화 지수 증가율을 보면, 소셜미디어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75세 이상의 응답자들은 0.38포인트, 다음으로 인터넷을 덜 사용하는 65∼74세 그룹은 0.35포인트, 가장 많이 사용하는 18∼39세 인구는 0.05포인트로 노년층에서 훨씬 높았다는 것입니다.
평균 양극화 지수 증가율은 0.18포인트였습니다.
보고서 공동집필진 가운데 한 명인 브라운대의 제시 사피로 교수는 "연구를 최근 시점으로 업데이트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우리의 추측으로는 디지털 미디어가 정치 상황 변화에 어떤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정치 양극화의 주범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공동 저자인 매튜 겐츠코우는 정치적 양극화를 부추기는 두 주요 원인으로 "소득 불평등 증가와 같은 구조적 요소 또는 비 디지털 미디어, 특히 케이블 TV와 토크쇼 프로그램 등이 그런 역할을 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습니다.
실제로 지난 대선에서 트럼프 지지자의 40%는 미국의 우파 성향 TV인 폭스 뉴스를 통해 정보를 접했으며, 미국의 극우논객 러시 림보와 션 해니티 등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연령 집단은 주로 65세 이상이라고 겐츠고우는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