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법인세율 3%P 올리면 세수 7조↑…근로소득공제 없애면 13조↑

세수 확보를 위해서는 근로소득공제 등 각종 공제를 없애는 것이 효율적이며, 소득세보다는 법인세율을 올리는 것이 세수 증대에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기백·전병욱 서울시립대 교수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의뢰로 작성한 '소득불평등 개선을 위한 조세 및 재정정책 개선방안' 최종보고서에서 소득세와 법인세 개편에 따른 세수 증대 및 소득불평등 개선 효과를 추정했습니다.

보고서는 소득세와 관련해 근로소득공제를 없애는 경우 세수 효과를 13조4천억원으로 추정했습니다.

근로소득공제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확대되는 구조인 만큼 근로소득공제를 폐지하면 소득불평등 지표인 지니계수 역시 0.038 정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연금 이외 각종 보험료 공제 폐지, 신용카드 소득공제 폐지에 따른 세수 효과는 각각 1조9천억원이었습니다.

이 경우 모두 지니계수가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3억원 초과 근로소득에 대해 세율을 3%포인트 인상하면 세수는 3천529억원, 10억원 초과 과세소득에 대해 추가로 4%포인트 인상하면 세수는 4천850억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보고서는 근로소득자와 마찬가지로 종합소득자를 기준으로 3억원 초과 과세소득에 대해 세율을 3%포인트 올리면 세수는 8천965억원, 10억원 초과 과세소득에 4%포인트 인상하면 세수는 1조4천33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아울러 지니계수 역시 낮아져 소득분배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세율 인상만 놓고 보면 법인세가 소득세에 비해 세수 증대 효과가 더 컸습니다.

일부 대선주자들이 공약한 것처럼 현행 22%인 법인세 최고세율을 25%로 올려서 과세표준 500억원 이상 기업에 적용하면 늘어나는 세수 규모는 4조1천700억원으로 추정됐습니다.

과세표준 200억원 이상에 적용하면 4조7천100억원으로 큰 변화가 없지만, 10억원 이상으로 대상을 넓히면 7조4천억원의 세수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세제개편으로 재정적자를 축소하는 한편 외국에 비해 높은 저소득층 비중을 낮추기 위해 조세 및 재정 차원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