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중국 관광객 재방한 비중 줄고 체류기간 짧아져

한국을 찾는 중국 관광객 중 재방문자 비중이 줄어들고 한국 체류기간도 짧아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중국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대응 과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중국 관광객의 지속가능한 유치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방한 중국 관광객 수는 2001년 48만 명에서 2014년 613만 명으로 연평균 21.5% 증가했습니다.

특히, 방한 중국 관광객 수는 2013년을 기점으로 중국을 방문한 한국 관광객 수를 추월했습니다.

중국 관광객들 중 한국을 처음 찾은 방문자 비중은 2011년 68.5%에서 2014년 79.8%로 증가했지만, 재방문자 비중은 3년 사이에 14.8%에서 11.6%로 감소했습니다.

중국 관광객의 체류기간은 2011년 10.1일에서 2012년 7.5일, 2013년 7.1일, 2014년 5.7일로 매년 짧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방문권역도 서울·제주에 제한돼 있는 실정입니다.

보고서는 "방한 관광객 수의 증가에도 관광 만족도 저하와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 발생 등이 관광시장 흐름을 바꿀 가능성이 높다"며 "양적 확대에서 질적 혁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정책기조를 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경쟁국인 일본은 중국인을 대상으로 단체관광객 비자와 복수비자, 가족관광비자 등을 발급하는 혜택을 제공하고, 항공노선 확충과 소비세 면세제도 확대, 크루즈·카지노 산업 육성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엔저 정책의 영향을 받아 2015년 1∼4월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이 133만 명을 기록하는 등 전년 대비 두배 증가했습니다.

이번 연구보고서를 작성한 장병권 호원대 교수는 쇼핑관광과 바가지요금에 의존하는 저가 여행상품을 근절하고 중국의 고소비층인 20∼30대 신세대를 대상으로 한 상품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장 교수는 "현재 추세대로라면 2020년에 중국 관광객을 1천280만 명까지 유치할 수 있다"면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