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스 예방 모범국에서 메르스 민폐국으로…후퇴한 방역체계

[SBS 뉴스토리] 사스는 막고 메르스는 왜 뚫렸나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인 메르스(MERS) 공포가 한국을 덮쳤다.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국내 환자수는 한 달도 되지 않아 150명에 달했고 사망자는 두 자릿수를 넘겼다.

2003년, 전 세계를 강타했던 사스(SARS) 발병 당시, 우리나라는 사스 의심 환자가 발생하기 전부터 방역체계를 구축했다. 그 결과 국내에서 사스에 걸려 사망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고 ‘사스 예방 모범국’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12년이 지난 현재, 우리나라는 왜 ‘사스 예방 모범국’에서 ‘메르스 민폐국’으로 전락하게 된 걸까?

이번 메르스의 경우 첫 환자의 격리가 늦어져 2차 감염자들을 막지 못한 것, 그리고 메르스 관련 병원에 대한 정보 공개가 지나치게 늦어진 것이 메르스 확산의 주된 요인이었다. 

특히 전문가들은 여러 명이 문병을 가는 문화와 이른바 의료쇼핑 등 한국만의 특수한 병원 문화도 메르스 전파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메르스 방역에 실패한 것도 모자라 국민에게 혼란만 주는 정부. 걷잡을 수 없이 번져버린 메르스를 막기 위한 대안은 무엇인지 뉴스토리에서 취재했다.

(SBS 뉴미디어부)

[SBS 뉴스토리]
▶ 목숨 건 후방 조치…치명적 2차 사고의 위험
▶ 국과수 창설 60주년…감춰진 진실을 찾는 사람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