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미크론이라는 강력한 태풍이 코 앞에 바짝 다가왔는데도, 들으신 것처럼 정부는 의료 체계를 언제 바꿀지 그 시점을 놓고 오락가락하고 있습니다. 오미크론이 퍼지면 동네 병원이 코로나 환자를 일부 맡아줘야 하는데, 그 세부 지침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의료 현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이 내용 한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미크론 의료 대응 체계는 폭증하는 환자의 관리 부담을 동네 병원이 나눈다는 겁니다.
먼저 신속항원검사로 코로나 확진 여부를 판단합니다.
그런데 확정된 세부 지침은 아직 없고 의심 환자와 일반 환자를 어떻게 분리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조은주/가정의학과 의원장 : 환자를 검사할 수 있는 그런 구분된 공간이 없어요. 검사하려면 마스크 다 내려야 되고, 방호복을 또 입고 있어야 되는데 저는 이 환자뿐만 아니라 다른 환자도 봐야 하잖아요.]
재택치료자의 비대면 진료도 동네 병원 몫입니다.
의료진이 24시간 병원에 상주해야 한다는 조건에 참여를 꺼리는 병원들이 많습니다.
[손용규/소아과 의원장 : (병원이 세 든)건물 자체가 안 됩니다. 저희 건물도 밤 10시쯤 되면 모든 건물 다 불 끄고 다 철수하고, 냉난방도 안 되는 경우도 꽤 있고….]
하루 2, 3번씩 연락해 환자 상태를 챙기는 건데 응급 상황이 생기면 119에 신고하고 보건소에 알려 병상을 배정받도록 해야 합니다.
의료 현장에서는 현실에 맞지 않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박명하/서울시의사회장 : (통상) 환자가 응급 콜을 하는 경우가 1% 내외라고 합니다. 열흘에 한 번 올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는 응급콜을 의료기관 내에서 대기하고 있어서 받으라고 하니까….]
서울시는 구로구를 시작으로 5개 구 40여 개 병원에서 동네 병원의 코로나 진료 시범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서울시의사회가 재택치료지원센터를 꾸려 심야 업무를 맡는 방안도 제시했지만, 아직은 자원봉사로 메워야 하는 실정입니다.
정부는 이런 현장 의견을 반영해 내일(21일)에야 오미크론 의료대응을 위한 구체안을 발표합니다.
(영상취재 : 김원배·설민환, 영상편집 : 유미라, CG : 임찬혁)
▶ [단독] "오미크론 끝나간다" 남아공이 알게 된 2가지
▶ "노 마스크에 격리 없다"…오미크론과 공존 선택한 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