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MBK 김병주 "홈플 의사결정 관여 안 해…사회적 책임은 다할 것"

MBK 김병주 "홈플 의사결정 관여 안 해…사회적 책임은 다할 것"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홈플러스의 소유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은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자신이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회장은 오늘(14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 관련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우리(MBK)는 대기업이 아니고 사모펀드 운용사이며 (나는) 대기업 총수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13명의 파트너가 각자 자기 분야를 담당하고 있으며 내 담당은 펀드레이징"이라며 "자금을 일으키고 자금을 받은 투자처를 관리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책임론과 사재출연 요구가 나오는 것이 억울하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제 회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답했습니다.

MBK가 홈플러스의 납품 대금에 보증을 왜 서지 않느냐는 의원 질의에는 "내가 관여한 부분이 아니다"고 답했습니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한 과정을 묻는 다른 질의에 대해서도 "내 권한이 아니다. 홈플러스 이사회에서 결정한 사안"이라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는 MBK가 2015년 인수했고 장기간 경영난을 겪다 올해 3월 기업회생 절차를 시작했습니다.

김 회장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국회 증인으로 출석한 것은 처음입니다.

MBK는 홈플러스의 정상화를 위해 이미 3천억 원을 증여나 대출 보증 등 방식으로 지원했고, 앞으로 최대 2천억 원을 추가 증여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홈플러스에 대한 기존 지원금 3천억 원 중 1천억 원은 김 회장이 사재로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추가 자금 2천억 원은 MBK의 운영수익(관리보수 및 성공보수)을 활용해 마련할 예정입니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에 대한 MBK 측의 지원을 더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노력은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법인과 개인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고 답했습니다.

그는 자기 재산이 14조 원에 달하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해당 액수는 법인의 가치를 매긴 것 같은데 비상장 회사라 유동화할 수 없는 가치다. 주식을 팔아 재산을 만들 수 있는 구조가 아닌 만큼 이해해 달라"고 전했습니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의 최후 수단으로 매각을 진행하고 있으나, 아직 인수 희망자가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올해 내 매각이 무산되면 최악의 경우 기업 청산을 해야 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