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3시간 안에 복구"…정부의 '호언장담' 무너진 이유

<앵커>

이렇게 발생한 화재가 대규모 전산망 마비로까지 이어진 것은 데이터 저장공간에 문제가 생겼을 때 곧바로 대체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서입니다. 3년 전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때도 이미 지적됐던 문제인데 정부는 당시에 "3시간 안에 복구가 가능하다"고 자신했습니다.

이 내용은 김혜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카카오 먹통 사태 당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비슷한 화재가 나더라도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강동석/당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2022년 10월) : 대전센터가 화재나 지진 등으로 한꺼번에 소실될 경우, 재해 복구 시스템은 실시간 백업된 자료로 3시간 이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하지만 3년 전 답변과는 달리 이번 국정자원 화재로 모든 시스템이 멈춰 섰고, 하루가 지난 지금도 정상화 시점을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데이터센터는 각종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심장 같은 곳으로, 특히 정부처럼 중요 데이터를 다루는 기관은 단순 백업을 넘어,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이용석/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 실장 : DR(재난복구)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만 필요 최소한의 규모로 돼 있는 것도 있고, 어떤 형태는 스토리지(저장)만 돼 있고 데이터 백업 형태로만 돼 있는 것도 있습니다.]

즉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중화 장치는 갖췄지만, 시스템이 셧다운되면 즉시 활용할 수 없다는 겁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재난복구시스템 기능을 수행할 공주 센터를 건립해 지난해부터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예산 문제 등으로 진척이 늦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승주/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정부가 사고가 나면 기업체한테는 가혹한 글로벌 기준을 갖다 대고, 정부 시스템에는 그러지 못한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중요한 자원들은 정부에 훨씬 많고 우리나라는 인터넷 의존도도 높거든요.]

3년 전 카카오 먹통 사태를 반면교사 삼지 못한 정부, 이번에는 복구와 안전망 재정립까지 정부의 보안 시스템을 다시 한번 철저히 점검해야 할 때입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조무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