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여름방학과 휴가가 시작되는 7월 하순 물놀이 사망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한다며 구명조끼 착용 등 물놀이 사고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2020∼2024년 물놀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112명으로 7월 하순에 가장 많은 31명이 사망했습니다.
장소별로는 하천 39명, 계곡 33명, 해수욕장 25명, 바닷가 15명 순으로 사망 사고가 자주 발생했습니다.
사고 원인은 '구명조끼 미착용 등 안전 부주의' 41명, '수영 미숙' 38명, '음주수영' 19명 등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연령대별로는 50대와 10대 사망자가 각각 22명, 21명으로 많았고, 10세 미만 사망자도 7명에 달해 물놀이 시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물놀이할 때 자신의 체형에 맞는 구명조끼를 착용해야 하고, 어린이는 보호자와 항상 동반해야 합니다.
수심이 깊고 물살이 빨라 물놀이가 금지된 구역은 들어가지 말고, 물놀이장에서는 안전요원의 안내에 따라야 합니다.
음주 후에는 절대 물에 들어가지 말아야 하고,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큰 소리로 주변에 알리고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또 직접 뛰어들기보다는 현장에 비치된 안전 장비를 이용해 구조를 시도해야 한다고 행안부는 강조했습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