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제(12일)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공은 대학들과 교육부로 넘어갔습니다. 하지만, 다른 학생들과의 형평성 논란도 있어서 의대 수업 정상화 해법이 쉽게 나올 것 같지는 않아 보입니다.
윤나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의대생들의 복귀 선언에 의사단체와 정부는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광역시도의사회장들은 "용기 있는 판단"이라며 전폭 지지한다고 했고, 의대 교수들도 함께 해법을 마련하자고 했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도 SNS에 "큰 일보 전진"이라고 썼습니다.
환자단체는 환영의 뜻을 표하면서도 특혜성 조치는 없어야 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안기종/환자단체연합회장 : 국민적 상식과 형평성 그리고 1년 6개월 동안 의료 공백 사태에 피해를 본 국민과 환자의 정서를 고려해야 된다고 생각되고.]
다만 학생들이 언제, 어떻게 복귀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의대는 각 학년 교육 과정이 1년 단위로 연계돼 있어 1학기 유급이면 통상 다음 해에 복학합니다.
40개 의대 1학기 유급 대상자는 8천305명, 제적 대상자는 46명에 이릅니다.
수업 정상화 해법은 마땅치 않아 보입니다.
교육부가 더 이상 학사 유연화를 검토하지 않는다고 밝힌 가운데, 먼저 복귀한 의대생들과의 형평성 논란도 부담이기 때문입니다.
[이선우/의대·의전원 학생협회 비대위원장 (어제) : 7월에 돌아간다 하면 학사 끝나는 일정이 2월보단 조금 늦어질 것 같은데 방학 기간 조절 등을 통해 불합리한 일 없이 충분히 합류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
전공의들의 복귀 논의에도 속도가 붙을 걸로 보입니다.
'대화파' 한성존 신임 대표를 선출한 대한전공의협의회는 내일 국회 간담회에 이어 오는 19일에는 임시대의원총회를 엽니다.
이날 복귀 결정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다만 전공의 절반 이상은 이미 다른 의료기관에 취업한 걸로 파악된 만큼 현실적으로 전원 복귀는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원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