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울 한복판 '월세 1만 원' 떴다…"아이 키워볼까" 꿈틀?

<앵커>

서울에도 월세 단 1만 원만 내고 거주할 수 있는 집이 있습니다. 이런 파격적인 주택 정책을 펴는 지자체들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보완할 점은 없는지 윤나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결혼 4년 차인 유수진 씨는 하루 전, 이 집으로 이사했습니다.

새롭게 리모델링한 빌라인 데다, 지하철역까지 걸어서 10분이면 돼 만족하고 있습니다.

[유수진/서울 동작구 : 전에 살던 데는 굉장히 오래되고 30년 된 주택이었는데, 벽 마감이나 문이나 이런 게 새 거여서 되게 좋고]

이 집의 임대료는 보증금 1천400만 원에 월세 1만 원, 주변 전세 시세 3억 원대와 비교하면 매우 저렴합니다.

자연스럽게 아이를 가져야겠다는 여유도 생겼습니다.

[유수진/서울 동작구 : 집값에 대한 부담이 크니까 계속 미뤄뒀었어요. (여기가) 기본 2년인데 연장을 하면 4년까지 살 수 있으니까 우리가 여기서 한번 아이 계획을 가져보자.]

서울 동작구는 지난해 이 집을 비롯해 7채의 '만원주택'을 공급했습니다.

구가 임대한 집을 결혼 7년 이내, 30대 이하 부부에게 재임대하는 방식입니다.

청년 부부 100쌍이 몰리면서 경쟁률은 14대 1에 달했습니다.

[박일하/서울 동작구청장 : (집값 비싼 지역은) 많은 분들이 접근하기 어려운데 이런 지역에 만원주택이라는 정책을 펼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인천시도 하루 임대료 단돈 1천 원, 이른바 '천원주택' 500가구 공급을 앞두고 다음 달부터 신청을 받습니다.

파격적인 '만원 주택'은 전남 화순군이 재작년 먼저 시작했는데, 청년층 유입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자 동참하는 지자체들이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각각 추진하다 보니 신청 조건이 다르고, 규모도 제한적인 것은 한계로 지적됩니다.

[김준형/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 : (지자체 주도로는) 규모를 크게 늘릴 수가 없고요. 중앙정부의 예산으로 특히 주택 도시기능과 같은 그런 구조로 가야지. 규모로서 좀 덩어리가 커질 수 있고요.]

청년 부부 주거 지원이 장기적으로 출생률 증가까지 이어지려면, 보육과 교육, 의료 등 생활 여건 개선도 병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영상취재 : 김원배·김흥기, 영상편집 : 김종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