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일중 정상 "한반도 평화, 공동 책임"…북 비핵화 '온도차'

<앵커>

4년 5개월 만에 만난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정상이 오늘(27일) 공동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평화가 공동 이익이자 책임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협력체계를 더 공고히 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습니다.

오늘 첫 소식, 윤나라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한일중 정상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게 공동의 이익이자 책임이라는 사실을 공동성명에 명시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일본 총리는 북한 비핵화를 위해 3국이 함께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관련국들의 책임을 강조하며 시각차를 드러냈습니다.

[리창/중국 총리 : 관련 측은 자제를 유지하고, 사태가 더 악화하고 복잡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세 차례 정상회의에서 3국이 북한 비핵화에 한목소리를 냈지만 이번에는 북한이나 한반도 비핵화가 목표라는 문구가 공동성명에 담기지 않았습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3국이 각자 가장 중요한 문제를 공동성명에 반영한 것이라며 중국도 이에 반대하지 않은 건 묵시적 동의를 표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예고한 위성 발사를 놓고 한일 정상은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기시다/일본 총리 : (북한이) 발사를 감행한다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입니다. 북한에 대해 강력히 중지를 요청합니다.]

하지만 리창 총리는 이를 언급 않고 한미일 공조를 견제하는 듯한 입장을 내놨습니다.

[리창/중국 총리 : 경제·무역 문제, 범정치화, 범안보화를 반대하며 무역보호주의와 디커플링을 반대해야 합니다.]

대통령실은 4년 5개월 만에 열린 정상회담을 통해 3국 협력 복원에 계기를 마련했다고 자평했습니다.

하지만 오랜만에 만난 세 나라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적지 않음이 드러났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김남성, 영상편집 : 위원양)

▶ 한일중 FTA 협상 재개…'3국 문화교류의 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