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통합위,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위 세미나 개최

국민통합위,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위 세미나 개최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산하 '노년의 역할이 살아 있는 사회' 특별위원회가 세미나를 열고 건강한 노화를 위한 연령친화 의료 체계 도입과 세대 상생 일자리, 고용 연장 로드맵 등의 노년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국민통합위에 따르면 특위는 오늘(15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 별관 정책소통포럼공간에서 노년 정책 마련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그동안 함께 일하는 사회, 건강한 노년, 배우고 기억하는 노년, 다세대 공존이라는 4가지 방향 아래 정책을 논의해 온 특위는 오늘 세미나에서 이를 바탕으로 노년의 역할 강화에 중요한 일자리와 건강한 노년에 대해 전문가와 당사자들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국민통합위,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위 세미나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임상조교수는 '건강한 노년, 우리가 만들 수 있는 미래'라는 주제로 활력을 잃지 않는 지속 가능한 노화를 위한 정책제안을 발표했습니다.

정 조교수는 현행 의료시스템이 개별 질환 중심으로 분절돼 있어 노인의 급격한 노쇠를 예방하기에 한계가 있다며, 장기적인 돌봄 노동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연령친화병원 제도·노년기 심층진료 모델 개발 등 다양한 노년기 증상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체계를 구축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승호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안전망연구센터 소장은 '함께 일하는 사회 구현'을 주제로, 노인이 육아·돌봄 노동을 함으로써 청·장년 세대의 노동 공백을 보완할 수 있다며 '세대 상생 일자리' 확산의 중요성을 발표했습니다.

이 소장은 노인연금 수습 개시 연령에 맞춰 임금체계를 개편하고 재고용 제도를 확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순둘 특위 위원장은 "나이가 제약이 되지 않는 일터·배움터·삶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위의 제안으로 우리 사회가 한 걸음이라도 진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국민통합위는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특위 논의와 부처 협의를 거쳐 정책제언으로 구체화시킬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