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녹지 가득 · 안전' 약속하더니…잼버리, 현실은 달랐다

<앵커>

이번 행사는 시작 전부터 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쏟아졌었고, 그 지적은 곧 현실로 드러났습니다. 계획한 대로 약속한 대로만 준비했었어도 이런 일은 아마 없었을 겁니다.

새만금 잼버리의 문제점을 신용식 기자가 되짚어봤습니다.

<기자>

새만금 잼버리 조직위원회가 선보인 공식 홍보 영상

2년 전, 새만금 잼버리 조직위원회가 선보인 공식 홍보 영상입니다.

야영장 예상 전경에는 나무와 녹지가 가득합니다.

안전하고, 다양한 활동으로, '꿈을 그리는' 잼버리를 세계에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

나무 한 그루 없는 새만금 야영장에서는 첫날부터 온열 환자가 속출했고, 사흘 만에 1천 명을 넘었습니다.

벌레에 시달린 대원들의 다리는 물집투성이가 돼 갔습니다.

특히 화장실 문제는 내내, 수준 이하라는 원망을 들었습니다.

[대만 스카우트 대원 : 물이 넘쳐요. 아무도 청소하지 않아요. 이건 말도 안 됩니다.]

매립지라는 장소가 열악했다면 사전 준비는 더 철저했어야 할 텐데, 정부와 조직위는 그동안 큰소리만 쳐왔다는 게 드러났습니다.

[김현숙/여성가족부 장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 : 말씀하신 것들은 태풍, 폭염에 대한 대책도 다 세워놔서 의원님께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행사 닷새 만에 일부 참가국들이 야영지를 떠나기 시작했고, 정부는 새만금이 아닌 대한민국 잼버리라며 뒤늦게 수습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태풍 카눈으로 모든 참가자가 야영장을 떠나며 사실상 잼버리는 조기에 마무리됐습니다.

이런 허탈한 상황에서 나온 조직위원장, 김현숙 장관의 이 발언.

[김현숙/여성가족부 장관 : 오히려 위기 대응을 통해서 대한민국의 역량을 전 세계에 보여주는 시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위기관리 능력에 대해서 보여 줄 수 있고….]

조직위원장의 도 넘은 정신 승리에 부끄러움은 국민 몫이었습니다.

역대 최악의 잼버리로 전락한 이번 행사가 도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건지, 책임 소재 등 철저한 진상규명이 뒤따를 걸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김준희)

▶ 불붙는 잼버리 책임론…"전북 책임" vs "정부 잘못"
▶ 잼버리 4만 명 다시 한자리에…K팝 콘서트로 마무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