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실상 핵 공유' 평가, "핵 공유 아냐" 선 그은 미 당국자

<앵커>

정상회담과 의회 연설을 마친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의 국방부 청사에서 미군 수뇌부로부터 브리핑을 받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현지에서 취재하고 있는 기자에게 들어보겠습니다.

김기태 기자, 펜타곤이라고도 불리는 미국 국방부 청사, 거기에서도 심장부 같은 곳에서 대통령이 보고를 받았다면서요?

<기자>

네, 윤 대통령은 펜타곤의 핵심 시설인 지휘통제실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과 군 수뇌부의 브리핑을 받았습니다.

오스틴 장관은 윤 대통령에게 "대한민국을 방어하겠단 미국의 의지는 철통과도 같다"고 했습니다.

[로이드 오스틴/미국 국방장관 : 저희의 확장억제 공약에는 완전한 범위의 미국의 방어 능력, 즉 재래식 무기와 핵, 미사일 방어 능력이 포함됩니다.]

[윤석열 대통령 : 만일 북한이 핵무기 사용을 기도한다면 미국의 핵 능력을 포함해 한미 동맹과 대한민국 국군의 결연하고 압도적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앵커>

우리 정부는 두 정상이 발표한 워싱턴 선언으로 미국과 사실상 핵을 공유하는 것으로 느끼게 될 것이다 이렇게 설명을 했는데, 또 미국 당국자는 다른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기자>

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한미정상회담 직후 워싱턴 선언을 이렇게 평가했습니다. 먼저 들어보시죠.

[김태효/국가안보실 1차장 : 우리 국민들이 사실상 미국과 핵을 공유하면서 지내는 것처럼 느끼시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국 언론이 에드 케이건 백악관 NSC 선임국장에게 미국도 '사실상 핵 공유'라는 주장에 동의하느냐고 물었더니, 케이건 국장은 자신들은 핵 공유로 보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미국식 핵 공유의 정의는 핵 통제를 누가 하느냐를 말하는데, 워싱턴 선언에는 그 내용이 없다고 한 것입니다.

케이건은 대신 워싱턴 선언이 한국과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하며 더 민감한 논의를 많이 하겠다는 약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주범·김용우, 영상편집 : 박기덕)

▶ 미국 당국자는 "핵 공유는 아니다"…안보 우려 해소됐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