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북, 사이버 공격으로 미사일 프로그램 등의 자금 30% 충당"

미 "북, 사이버 공격으로 미사일 프로그램 등의 자금 30% 충당"
미국 정부가 북한이 해킹 등 사이버 활동으로 핵·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돈을 챙기고 있다면서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습니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현지시간 어제(17일) 워싱턴 DC 프레스센터빌딩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암호화폐 인프라에 대한 수많은 사이버 공격 등과 같은 해킹으로 북한은 막대한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미사일 프로그램 등에 필요한 자금의 약 30%를 충당한다"고 재차 밝히면서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은 상당한 우려 사항"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에 대응해서 우리는 동맹국과 (사이버) 위협에 대한 정보 협력을 강화하고 암호화폐 인프라를 활용한 불법 자금 이동을 어렵게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가 암호 화폐 돈세탁에 활용되는 믹서 업체인 '토네이도 캐시'를 제재한 사실을 거론하면서 "이 믹서업체는 최대 6억 달러(약 8천110억 원)의 불법 자금 이동을 도왔다"고 말했습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우리는 (북한의 사이버) 활동을 찾기 위한 노력과 자금의 이동을 돕는 암호화폐 인프라를 제재하는 다양한 수단을 계속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의 목표물이 되는 은행과 암호화폐 인프라의 탄력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미국 주도의 '랜섬웨어 이니셔티브 서밋'에 한국이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한국은 사이버 안보 및 스마트 시티와 같은 광범위한 기술에서 진정한 리더"라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도 15일 하원 국토안보위원회에 제출한 서면 자료에서 북한이 지난 2년여 동안 10억 달러(약 1조3천160억 원)가 넘는 암호화폐와 경화(hard currency)를 강탈해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 자금으로 썼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