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친절한 경제] 실감 안 나는 인구 절벽…'100년 뒤' 계산해본 충격 결과

<앵커>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20일)도 김혜민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요즘 출산율 낮다는 이야기 많이들 하기도 하고 듣기도 했는데, 오늘 김 기자 준비한 소식 보면서 깜짝 놀랐어요. 이대로 가면 인구수가 얼마나 줄어드는지 보여주는 자료가 있다면서요.

<기자>

합계출산율이 너무 낮다, 이런 이야기는 너무 많이 들어서 이제 좀 식상하죠. 그런데 이번에는 좀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나와서 가지고 와봤습니다.

감사원이 통계청에 의뢰해서 2017년을 기준으로 여기에서 100년 후, 그러니까 2117년이겠죠. 이때 우리나라 인구가 얼마나 줄어드는지 예측한 자료를 내놨습니다.

아주 먼 미래 같지만, 사실 우리 손자, 손녀뻘이 살아가는 세대라고 생각하면 또 가깝게 느껴지죠.

그랬더니 100년 뒤 인구 감소 폭이 예상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2017년 우리나라 인구가 5천만 명이 좀 넘었거든요.

50년 뒤에는 3천600만 명으로 줄고요. 100년 뒤인 2117년에는 1천510만 명까지 떨어집니다. 계산해보면 100년 만에 30%도 안 되는 숫자만 남는 것입니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이 계산이 2018년의 합계출산율을 기준으로 나온 것인데요, 합계출산율이 계속 더 낮아지고 있잖아요. 이 결과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 앞으로 올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앵커>

아니, 그러니까 진짜 줄어드는 폭이 예상한 것보다 훨씬 진짜 큰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지금 우리나라 전체를 봐서 좀 알아본 것이고요, 지역별로도 차이가 있을 것 같아요.

<기자>

지금도 지방에서는 사실 아이를 보기가 쉽지 않은 곳이 많죠. 지방 대도시의 인구 감소는 더욱 가파른데요, 부산은 100년 후에 5분의 1로 줄어들어서 73만 명만 살게 되고요, 대구 22%, 광주는 23%로 줄어듭니다.

그나마 경기도는 현재 해마다 인구가 크게 늘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2117년에는 3분의 1 토막이 됩니다.

아이를 낳지 않으면서 전체 인구에서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율도 급격하게 상승하게 됩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2067년에는 절반 가까이 되고요, 2117년에는 52.8%까지 올라갑니다.

100년 뒤의 한국은 국민 2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노인의 나라'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일할 수 있는 1명의 젊은이가 감당해야 하는 복지 비용이 훨씬 더 커지고요. 국가 생산성도 떨어져서 경제 성장이 뒷걸음칠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정말 인구수가 줄어드는 곳도 정말 걱정이지만, 그 줄어든 인구의 절반이 노인이라는 것도 지금 시점에서 심각하게 한번 생각해봐야 될 것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제가 보며 놀란 것이 인구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생각할 수 있잖아요. 그런데 인구가 소멸할 위험이 있는 지역도 있다고요?

<기자>

'인구소멸지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좀 생소하죠. 이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이 한 지역의 가임기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누는 것입니다.

고령자가 가임기 여성 인구보다 2배가 많으면, 이것은 현상 유지가 어려운 '소멸 위험 단계', 또 5배가 많으면 공동체 성립이 불가능할 정도라서 '소멸 고위험 단계'로 분류합니다.

이 고위험 단계에 진입하는 시·군·구, 2017년에는 12곳뿐이었지만, 100년 뒤에는 18배 많은 221곳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이 됐습니다.

서울을 한번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100년 뒤에 강남과 광진, 관악, 마포 이 4개 구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구가 소멸 고위험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방의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부산 강서, 광주 광산, 대전 유성을 뺀 모든 지역이 소멸 고위험군에 들어갑니다.

<앵커>

진짜 인구수가 줄어서 이것이 소멸할 수 있다, 그러니까 소멸이라는 표현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개인적으로 좀 무섭다는 생각까지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앞에 김 기자가 첫 소식 전해주면서 전해줬잖아요. 이야기했던 모든 데이터의 기준은 2018년 출산율 기준인데, 출산율이 갈수록 더 낮아지고 있잖아요. 앞으로 속도가 더 빨라질 것 같거든요.

<기자>

맞습니다. 연구 분석에 참여한 연구위원도 비슷한 의견을 내놨는데요, 지금의 저출산 추세로 보면 이번 추계는 '보수적'이라면서 실제 지역 소멸 속도가 앞으로 크게 앞당겨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여기에다가 코로나19 확산은 아이를 낳으려는 의지를 더 꺾고 있는데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가임기 기혼 여성을 설문조사해봤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3명 중에 1명 정도가 출산 의향이 예전보다 줄었다, 이렇게 답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출산력 하락은 아직 그 영향이 나타나지도 않았고요, 이것은 2, 3년 뒤에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충격적인 인구 절벽 예측에 대비한 정부의 정책이 얼마나 잘 정비가 돼 있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는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