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로봇 안내견' 시대?…로봇, 우리 생활 어디까지 왔나

<앵커>

최근 한 대형마트에서 안내견 출입을 거부해 논란이 일었었죠. 그런데 앞으로는 네발로 걷거나 뛰어다니는 로봇이 안내견의 역할을 대신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혜민 기자입니다.

<기자>

네 개의 다리로 자유자재로 걷고 스스로 문을 엽니다.

여럿이 모이면 무거운 짐을 운반하거나 차를 끌 수도 있습니다.

세계적인 로봇기업인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소형 상업용 로봇 개 '스팟'입니다.

지난 11일 현대차그룹이 보스턴 다이내믹스 지분 80%를 소프트뱅크그룹에서 인수하기로 최종 합의했습니다.

스팟은 처음에는 원격의료, 구조 등을 목적으로 개발됐습니다.

미국과 일본에서 시각장애인 안내용이나 인명구조용 등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사람의 발길이 닿을 수 없는 위험한 상황이나 자동차가 도달할 수 없는 곳에서 적극 활용됩니다.

특히 산업현장이나 응급 구조를 할 때 활용도가 높습니다.

[주성하 연구원/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 플랜트 현장에 가스가 누출됐을 경우에 사람을 대신해 어떤 지점에 가스가 누출됐는지 정찰을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연산량이 많아 한번 충전에 90분만 작동하는 건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입니다.

현대차그룹은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스팟'과 2족 직립 보행 로봇 '아틀라스' 등을 운용하기 위해 개발한 자율주행과 인지, 제어 등의 기술을 모빌리티 분야에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해외 자동차업체들도 로봇 개발에 적극적입니다.

혼다는 2000년 세계 최초로 직립 보행 로봇 '아시모'를 개발했고, 닛산은 미국항공우주국과 자율주행 등을 공동 연구 중입니다.

미국 포드는 로봇업체 '어질리티 로보틱스'와 협력해 무거운 물건을 들고 장애물과 계단을 파악하는 직립 보행 로봇을 개발해 상용화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

<앵커>

이 내용 취재한 김혜민 기자와 얘기 이어나가겠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로봇시대' 하면 그렇게 크게 와닿지 않지만 실생활에는 가까이 와 있죠?

[김혜민 기자 : 혹시 요즘 3대 이모님이라고 불리는 로봇청소기 써보신 적 있으신가요? 최근에는 이 기술이 많이 발전을 해서요. 로봇청소기 스스로가 그 공간을 인식을 하고 또 자기가 알아서 공간을 돌아다닙니다. 만약에 충전이 부족하면 충전기로 알아서 가기도 하고요. 우리 생활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로봇 기술인데요. 이 로봇청소기에는 첨단 기술이 들어가 있습니다. 바로 첨단 순항 미사일에 들어가는 슬램이라는 기술이 있고요. 이 기술 때문에 주변 지형지물을 피하면서도 그 목표 지점까지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는 거죠.]

Q.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기술 개발 활발히 경쟁 중?

[김혜민 기자 : 네, 최근에 LG가 LG클로이 살균봇을 내놨는데요. 이건 스스로 방역 작업을 할 수 있는 로봇입니다. 요즘에 특히 많이 필요하겠죠. 자외선 살균 램프가 탑재가 돼 있고요. 여기에도 자율주행기술 그리고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그런 기술도 탑재가 돼 있습니다. 삼성도 매년 삼성봇이라는 로봇을 내놓고 있는데요. 작년 CES에서 삼성이 볼리라는 그런 로봇을 내놨습니다. 테니스공 모양이고요. 여기 안에도 AI가 탑재가 돼 있어서요. 집 안 곳곳을 모니터링하고 또 TV 같은 스마트 기기와도 연동이 됩니다. 다음 달에 또 CES가 열립니다. 여기에서 우리나라 업체들이 또 얼마나 많이 발전한 로봇 기술을 내놓을지가 기대가 됩니다.]

Q. '비대면 시대' 속 로봇의 역할은?

[김혜민 기자 : 사실 요즘 코로나19 때문에 비대면 서비스가 일반화돼 있죠. 인공지능 로봇들이 이 기술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이미 일부 호텔들에서 로봇 집사들을 보신 분들도 계실 텐데요. 직원이 로봇에 목적지를 설정을 하고요. 여기에 물건을 담아두면 로봇이 알아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그 고객이 있는 객실까지 배달을 스스로 합니다. 그럼 고객은 이 물건을 그대로 받기만 하면 되겠죠. 그리고 음식을 배달하는 로봇도 있는데요. 지금은 SK텔레콤과 배달의 민족에서 자율주행으로 이걸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개인과 가정용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가 46억 달러 정도였는데요. 이게 2년 뒤에는 3배까지 올라가서 115억 달러까지 크게 증가할 걸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