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00% 항체' 코로나 백신 확보전…국내 접종 언제쯤?

<앵커>

영국의 옥스퍼드대가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데, 백신을 맞은 사람들 모두에게서 바이러스를 방어하는 항체가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게 의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짚어 드리겠습니다.

<기자>

인체에 무해한 운반체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 속에 코로나19 유전자를 담아 주사합니다.

이 바이러스가 피부 바로 아래 섬유 조직에 닿으면 코로나19 유전자가 면역반응을 유도합니다.

영국 옥스퍼드대가 개발하고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시험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의 세계 최대 규모 임상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15~85세까지 참가자 1,077명에게 투여한 결과 1차 접종 한 달 후 91%, 그중 10명은 2차 접종했는데 전원에게서 바이러스를 방어하는 항체가 발견됐습니다.

항체의 양은 회복기 코로나19 환자와 비슷했습니다.

항체뿐 아니라 바이러스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면역세포도 100% 활성화됐습니다.

심각한 부작용 없었지만, 두통, 피로감 등은 많은 사람에서 나타났습니다.

국제백신연구소는 효과가 높으면서도 위험성이 적은 게 확인됐다고 했지만 공급에 대한 우려는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제약사는 올해 말까지 21억 회 투여분을 생산할 예정인데 임상에 참여한 영국과 미국 그리고 유럽동맹 4개 국가에 우선 8억 회 분을, 중-저소득 국가에 13억 회 분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오늘(21일) 국내 제약사가 생산에 합류하기로 협약을 맺었지만 국내 물량 확보 전략이 필요합니다.

백신 접종은 이르면 내년 초쯤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송만기/국제백신연구소 사무차장 : 임상 3상을 잘 진행해서 실제로 백신을 접종한 후 방어가 되는지를 확인을 해야 됩니다. 결과가 잘 나온다면 내년 초에는 접종 할 수 있지 않을까?]

국내 접종을 늦추지 않으려면 여러 종류의 국내외 백신 후보 물질에 대해 국내 임상을 시작해 놓는 게 유리합니다.

(영상편집 : 김호진, 화면제공 : 한국 아스트라제네카)   

▶ 러시아 파견 직원 코로나 사망…확진 한국인 더 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