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심화하는 제조업 고용 타격…5월 줄어든 일자리 절반이 30대

심화하는 제조업 고용 타격…5월 줄어든 일자리 절반이 30대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이 일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완화하는 반면, 제조업에서는 영향이 커지고 있습니다.

서비스업 중 숙박·음식업과 교육서비스업 등은 취업자 수 감소폭이 줄어든 반면 제조업 취업자 수 감소폭은 3개월째 확대됐습니다.

특히 제조업 종사 비중이 높은 '경제의 허리' 30·40대에서 취업자 수 감소가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통계청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1년 전보다 줄어든 제조업 취업자 5만7천명 중 절반이 넘는 2만9천명(50.9%)이 30대였습니다.

5월에 30대 다음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가장 많이 감소한 연령대는 50대로, 2만7천명이 줄었습니다.

이어 20대(-2만3천명), 40대(-1만9천명), 15∼19세(-3천명) 순으로 취업자 수 감소폭이 컸습니다.

반면 60대 이상 제조업 취업자는 오히려 4만4천명 늘었습니다.

30대뿐 아니라 40대도 제조업에서 고용 한파를 맞고 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가 연속 감소한 3∼5월 중 30대 취업자는 5월 감소폭이 컸지만 3∼4월에는 비교적 많이 줄지 않았습니다.

3∼4월에는 40대 취업자 수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4월에는 제조업 취업자가 4만4천명 줄었는데, 40대에서는 전체 제조업 취업자 감소분보다 많은 5만1천명이 감소했습니다.

이어 20대(-2만5천명), 50대(-1만3천명), 30대(-6천명), 15∼19세(-2천명) 순으로 취업자가 많이 줄었습니다.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5만3천명이 늘어 전체 제조업 취업자 감소폭을 낮췄습니다.

30대와 40대에서는 제조업 취업자가 줄고 60대 이상에서 늘어나고 있는 현상에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상황의 어려움과 인구 구조 변화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기업들이 계속고용 부담이 덜한 임시직을 주로 만들면서 30·40대 취업자는 줄고 60대 이상 취업자는 늘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