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둔화 기조가 짙어지며 한국 경제 성장세와 물가 상승률 눈높이가 자꾸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금융시장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와 투자은행인 노무라는 최근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5%에서 2.4%로 내렸습니다.
앞서 역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2.3%에서 2.1%까지 떨어뜨렸습니다.
아시아개발은행은 2.5%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작년 9월엔 2.8%로 전망했다가 12월에 2.6%로 낮췄고 이번에 석 달 만에 다시 0.1%포인트 내렸습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7%에서 2.5%로 낮추면서, 대외 리스크 요인이 받쳐주지 않으면 더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도 지난달 26일 국회 간담회에서 작년 12월에 전망한 2.6%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제개발협력기구도 2.8%(작년 11월)에서 2.6%(3월 초)로 내렸습니다.
국제통화기금은 경제전망을 내놓으며 한국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IMF는 지난달 12일 연례협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의 성장률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면서 전제조건으로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을 거론했습니다.
GDP의 0.5%(약 9조원)를 초과하는 추경 없이는 그만큼 성장이 어렵다고 평가한 겁니다.
한국은행은 18일 금융통화위원회 때 수정경제전망을 내놓습니다.
1월에 내놓은 전망치(2.6%)를 낮출지가 관심입니다.
올해 들어 이주열 총재는 금리 인하를 검토할 때가 아니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는 등 일단 이달을 포함해 당분간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 인상을 단행한 지 몇달 안 된 데다가 미중 무역분쟁, 브렉시트 등 불확실성이 너무 커서 '관망'할 시기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