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심상정 "한국당 선거 개혁 합의 임하면 원포인트 권력 구조 논의"

심상정 "한국당 선거 개혁 합의 임하면 원포인트 권력 구조 논의"
심상정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자유한국당이 선거제 개혁 합의에 임하면 한국당이 주장하는 '원포인트 권력구조' 논의에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심 위원장은 국회에서 연 기자 간담회에서 "합의에는 선후가 있기 때문에 권력구조 개편이 진행될 수 있도록 나경원 원내대표가 우선 선거제 개혁에 협조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비례대표 폐지와 의원정수 10% 감축을 골자로 한 한국당 선거제 개혁안에 대해선 "사회적 약자를 배제하고 지역주의 기득권을 강화하는 것으로, 선거제 개혁에 있어 퇴행적이다"라고 비판했습니다.

심 위원장은 "지금이라도 한국당이 선거제도 개혁을 합의 처리하겠다는 전향적 의지가 실린 제안을 해주길 기대한다"면서 "선거제도 개혁이 유실되는 것을 방어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패스트트랙을 검토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당이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하면 존중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선거제 개혁안을 패스트트랙 처리와 관련해선 "여야 4당이 패스트트랙의 큰 원칙엔 합의했지만, 정개특위 차원에서 패스트트랙에 올릴 만큼 내용이 정리되지 못했다"면서 "오늘내일 사이에 빨리 결정을 해달라고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심 위원장은 선거제 개혁의 핵심인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해선 "연동형 비례제를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가는 민주당이 얘기한 준연동형제에 대한 합의는 없었다"면서 "100% 연동형을 주장하는 야 3당의 입장에서 민주당의 준연동형제 사이 격차는 충분히 협상할 수 있는 범위라고 판단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선거제 개혁안과 함께 패스트트랙에 올리는 개혁법안과 관련해선 "야3당 대표자 회의에서 이는 기본적으로 정개특위와 사법개혁특위 범위 내에서 결정돼야 하다는 입장을 정리했고, 민주당이 어제 최종적으로 이를 수용하는 입장을 냈다"면서 "공수처법은 이견을 조정하고, 단일안을 만드는 협상이 필요하지만 패스트트랙을 어느 범위까지 할 것이냐는 정리됐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