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기둔화 우려에 유가 50달러대로 ↓…올해 전망치도 하향세"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에 올해 유가 전망이 점차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은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최근 해외경제 동향'에서 "지난달 두바이유 기준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 비OPEC 주요 산유국의 감산 합의에도 전월 대비 13.3%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상 산유국들이 감산 합의에 이르면 석유 공급 감소 우려 때문에 유가가 뛰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실제 지난해 10월 배럴당 80달러 수준으로 치솟았던 국제유가는 지난달 초반 배럴당 60달러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중순 이후에는 더 빠르게 하락했습니다.

지난달 두바이유와 브렌트유는 평균 56.5달러로 내려앉았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해임 논란까지 불거지며 투자 심리가 크게 꺾인 탓입니다.

최근 유가 흐름을 반영해 주요 기관들의 올해 유가 전망은 하향세입니다.

올해 브렌트유를 기준으로 보면 미국 에너지정보청은 작년 11월에 배럴당 71.9달러로 전망했다가 지난달에는 61.0달러로 확 낮췄습니다.

시장조사기관인 IHS는 유가 전망치를 작년 11월 75달러에서 12월 69.6달러로, 영국 옥스퍼드경제연구소는 같은 기간 69.8달러에서 63.0달러로 낮춰 잡았습니다.

한편 주요국 경제 상황을 보면 미국은 작년 11월 기준으로 소비를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 흐름이 이어지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온라인 판매 호조에 힘입어 미국의 소비지표인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2% 증가했고 실업률은 3.7%로 전월과 같은 수준이 유지됐습니다.

지난달 소비자신뢰지수도 기준치인 100을 넘어 소비심리도 양호한 모습이었습니다.

반면 중국은 대외 무역, 산업생산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성장의 하방 압력이 점차 커지는 모양새입니다.

미국에 대한 수출 감소 여파로 작년 11월 수출 증가율은 5.4%에 그쳤습니다.

전월(15.6%)에서 크게 꺾였습니다.

대내 수요 감소로 소매판매 증가율도 8.1%에 머물며 전월(8.6%)보다 둔화했습니다.

유로 지역은 실업률 하락, 임금 상승 등 고용시장 호조가 지속하고 산업생산·수출이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경제는 실업률이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작년 10월 들어 산업생산, 실질 가계소비 등이 개선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