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26일) 국회에서는 사립유치원 비리 근절을 위한 유치원 3법과 위험의 외주화를 막기 위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논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시급한 민생 현안이지만 청와대 특감반 문제가 걸림돌이 돼서 빈손 국회가 재연될 조짐입니다.
윤나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유치원 3법 처리를 위해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가 또 결론을 못 내렸습니다.
이찬열 교육위원장은 민주당과 바른미래당의 합의로 법안처리가 가능한 '패스트 트랙' 가능성도 언급했지만, 결정은 미뤘습니다.
[이찬열/교육위원장 : 오늘 회의는 정회하고 여야 간사 간 협의를 계속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여야는 오늘 오후 교육위 소위에 이어 내일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유치원 3법 처리를 최종 결정합니다.
태안화력발전소 비정규직 근로자 김용균 씨의 사망으로 재개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논의도 고비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야는 사고 발생 시 원청업체의 책임을 강화하고 위험한 작업의 하도급을 제한하는 큰 틀에 공감해 합의가 9부 능선까지 왔다는 평가입니다.
고 김용균 씨 어머니는 오늘 오전 환노위 소위에 맞춰 국회에 와 회의 진행을 지켜봤습니다.
하지만 정작 법안들이 최종 처리될 내일 본회의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자유한국당 등 야당이 청와대 특감반 의혹 규명을 위한 국회 운영위 소집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당은 조국 민정수석이 출석하는 운영위가 열리지 않으면 본회의 법안처리를 거부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여야는 오늘 오후 내일 본회의 개의와 안건 처리를 놓고 막판 담판을 벌일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