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가 하나금융투자에 대해 내린 해외선물·옵션거래 일시 중지 조치로 이 금융투자사의 고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애초 하나금융투자는 국내 개인정보보호법 때문이라고 주장하다가 CME가 하나금융투자의 부정확한 정보 제공 때문이라고 반박하자 잘못된 정보를 일부 제공했다고 한발 물러섰습니다.
그러나 고객 불편은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CME는 지난 22일 하나금융투자를 통한 거래를 60일간 중지한다고 통보했습니다.
하나금융투자도 홈트레이딩시스템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에 이런 내용을 담은 안내문을 띄웠습니다.
하지만 고객들은 CME의 해외선물·옵션거래가 되지 않는 불편을 겪었습니다.
문제가 불거지자 애초 하나금융투자는 CME의 조치가 국내 개인정보보호법과 관련 있는 문제라고 언론에 설명했습니다.
국내 법상 정보를 제공하려면 고객 동의가 필요한데, 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은 고객의 정보를 주지 않자 CME가 문제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고 이 회사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CME는 이틀 후인 24일 이번 거래중지는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과 무관하다며 하나금융투자에 보낸 약식 시장접근 중지 통보서까지 공개했습니다.
CME가 공개한 통보서엔 하나금융투자는 2017년 5월부터 최근까지 계좌 소유권과 거래권한자, 계좌활동 기록자료 등과 관련해 불완전하고 부정확한 허위 정보를 제공했고 기재돼 있습니다.
이에 CME는 하나금융투자의 행위가 스푸핑(허수주문), 시장질서 교란 행위, 자금이전 활동에 관한 조사를 중 대하게 방해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하나금융투자는 옴니버스 계좌에서 개별로 신고해야 할 부분도 누락했습니다.
CME는 통보서에서 "하나금융투자가 CME그룹 시장의 완전 무결성에 위해를 가하지 않으면서 사업을 계속 운영 또는 수행할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CME 관계자는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을 뛰어넘는 정보를 달라는 게 전혀 아니다"라며 "하나금융투자가 반복해서 허위 정보를 제공해 고의로 조사를 방해하는 행위라고 생각돼 불가피하게 조치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ME의 반박에 하나금융투자는 뒤늦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고 인정했습니다.
하나금융투자 관계자는 "전산 오류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게 사실"이라면서 "협의를 통해 사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