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훈풍에 주식 투자해볼까…신용융자 사상 최대

한반도 훈풍에 주식 투자해볼까…신용융자 사상 최대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신용융자 잔액이나 주식거래활동계좌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늘어났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이 줄면서 한국 증시의 저평가를 지칭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북정상회담을 이틀 앞둔 25일 신용융자 잔액은 12조1천788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하는 신용융자 잔액은 지난 2월 20일 10조9천924억원로 연중 최저치를 찍고서 이후 증가세를 보여 남북정상회담을 한주 정도 앞둔 이달 19일엔 사상 처음 12조원을 넘었습니다.

이후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가 25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남북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에는 12조1천759억원으로 역시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코스닥시장의 신용융자 잔액은 20일 6조3천427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뒤 25일 6조2천775억원, 26일 6조2천576억원으로 완만하게 줄었습니다.

이달 주식 거래대금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동시에 증가했습니다.

주식거래활동계좌도 26일 현재 2천583만1천945개로 사상 최대입니다.

이처럼 최근 신용융자 잔액이 고공행진을 하고 주식 거래가 늘어난 것은 북한 리스크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북한의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등에 따른 한반도 리스크는 국내 증시에 악재로 작용하며 한국 증시의 저평가 요인으로 지목돼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27일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완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벌써 북한 철도 건설 등 인프라 투자 기대감에 철도, 전기, 가스, 석유관, 시멘트, 토목 등의 남북 경협주부터 개성공단 입주 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다만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되려면 선언을 넘어서 실행이 담보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