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검찰, 'MB 블랙리스트' 문화예술인 82명 상대 피해조사 시작한다

검찰, 'MB 블랙리스트' 문화예술인 82명 상대 피해조사 시작한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퇴출 압박을 가했다는 정황이 공개됨에 따라 검찰이 피해자들을 상대로 조사에 나섭니다.

검찰에 따르면 국정원의 사이버 여론조작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전담 수사팀은 국정원의 블랙리스트 관련 수사의뢰에 따라 일부 피해자들을 불러 조사할 방침입니다.

국정원 적폐청산 TF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정원은 원세훈 전 원장 재임 초기인 2009년 김주성 당시 기획조정실장의 주도로 '좌파 연예인 대응 TF'를 구성해 정부 비판 성향의 연예인이 특정 프로그램에서 하차하도록 압박했습니다.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문화예술계 인사는 82명에 이릅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방송 등에서 비판적인 견해를 내비친 적 있는 연예인들과 참여정부 시절 민주노동당 지지를 선언했던 영화감독 등이 대부분 압박 대상으로 등재됐습니다.

검찰은 82명 가운데 실질적으로 피해를 당한 정황이 있는 주요 피해자들을 일부 불러 구체적인 사실 등을 조사할 방침입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범행에 가담한 국정원 간부 등의 국정원법 위반 혐의를 파헤치는 형태로 수사가 진행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검찰은 블랙리스트 의혹으로까지 수사 대상이 확대되는 데 대비해 전담 수사팀 인원을 늘리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재 중앙지검은 2차장 산하 공공형사수사부와, 공안2부를 중심으로 타 검찰청 파견검사를 포함해 13명의 검사로 전담 수사팀을 운영 중인데 최소 2∼3명의 검사가 증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사팀은 당면 과제인 온라인 여론조작 의혹에 관한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어제는 민병주 전 국정원 심리전단과 국정원 퇴직자 모임인 양지회의 노모 전 기획실장 등이 잇따라 소환조사를 받았습니다.

검찰은 국정원으로부터 넘겨받은 민간인 댓글부대 금전 지원 영수증 분석과 계좌추적 등을 통해 국정원이 민간인을 동원한 여론조작에 약 60억원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2차로 수사 의뢰한 추가 수사 대상자까지 포함하면 이 액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