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은 단지 돈을 벌기 위해 투자하는 게 아니라 소위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을 하기를 원한다는 겁니다. 다시 말해서 사회나 환경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투자한다는 겁니다. ‘US 트러스트’의 분석 팀이 최근 최소한 3백만 달러 (36억 원)의 투자 자산을 가진 18세부터 35세까지의 백만장자 684명의 투자내역을 분석해 봤습니다.
그런데 조사 대상의 93%가 투자를 결정할 때 사회나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년 전 같은 조사를 실시했을 당시 74%보다 훨씬 높아진 수치입니다.
이런 현상은 비단 젊은 자산가들만의 얘기는 아닙니다. 지난 2년간 전 연령대의 자산가들이 이런 ‘임팩트 투자’에 더 많은 호감을 갖고 투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겁니다. 미국 전 부통령인 앨 고어도 임팩트 투자자가운데 한 명입니다.
그가 소유한 투자 회사 ‘제너레이션(Generation)’은 120억 달러(14조 원)를 운용하고 있는데, “투자를 결정하는 데 있어 환경을 보호하느냐가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하고 또 그렇게 하고 있다”고 앨 고어는 밝히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커피 전문점인 ‘스타벅스’는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소중히 한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커피 생산 농장 노동자에 대한 착취에 반대해 그런 곳의 커피는 구매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제3세계 저성장 국가의 생산물 (바나나나 빵 재료)을 구입해 팔거나 가공하고 있습니다.
또, 스타벅스에서 일하는 피고용인들의 대학 학비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스타벅스가 임팩트 투자자라는 이미지를 줌으로써 회사 브랜드 가치를 높여 더 많은 이윤을 내는데 있어서, 그리고 다른 투자를 유치하는 데 있어서도 분명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뉴욕에 있는 ‘마데이라 글로벌(Madeira Global)’은 ESG(Environmental : 환경적 가치, Social : 사회적 가치, Governance : 운영 방식의 앞 글자) 와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전문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각 기업들의 이 ESG에 따라 0부터 100까지 사이의 점수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 점수가 100에 가까울수록 친 환경적이고 사회 기여적이고 합리적 경영을 하는 회사라는 얘기가 되고 0에 가까울수록 그렇지 않은 회사라는 뜻이 됩니다.
결국,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이야 말고 소비자들로부터 사랑 받고 투자자들의 과감한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한국 기업들도 ‘임팩트 투자’에 인색하지 말아야 할 것이며, 그런 임팩트 투자를 하는 기업들을 소비자들이 더 선호하는 선 순환 구조가 지금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정착됐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래픽 사진 = C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