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화재청-소방방재청 서로 "억울하다" 책임공방

<8뉴스>

<앵커>

이번 화재의 미숙한 초기대응은 우리 역사에 두고두고 한으로 남게 됐습니다. 문화재청과  소방방재청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은 가운데 양측은 서로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습니다.

김형주 기자입니다.

<기자>

소방 관계자들은 초기 진화에 실패했다는 비판에 억울하다는 반응입니다.

초기에 기와를 떼어내려 했는데, 문화재청이 제동을 걸었다는 겁니다.

[소방방재청 관계자 : (문화재청이) 문화재인 점을 감안해 화재 진압에 신중하게 해달라 해서...]

하지만 문화재청은 화재 초기 일부를 파괴해도 된다고 소방방재청에 통보했다며 반박했습니다.

오히려 소방대원들이 문화재 훼손을 꺼려 이를 거부했다고 문화재청의 한 관계자는 주장했습니다.

책임 공방으로 번지자, 두 기관은 뒤늦게 한 목소리로 해명에 나섰습니다.

뿌린 물로 지붕이 얼어붙어 소방관들의 접근이 불가능했고, 기와도 손으로 뗄 수 없는 특수기와여서 불가항력이었다는 겁니다.

[정정기/서울소방본부장 : 지붕이 일반 지붕하고 달라서 일반 기와가 아닌 상당한 특수한 기와였습니다.]

[김상구/문화재청 건축과장 : 그런 사항에서는 현재 한식구조 특성상 어떤 방법이 없는 그런 사항입니다.]

하지만, 지난 1997년 기와 보수를 맡았던 전문가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합니다.

기와를 처마 쪽부터 떼어내면, 흙이 나와 미끄럽지 않기때문에 안전하게 해체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근복/한국 기와 협회 회장 : 손으로 얼마든지 뜯을 수 있는 겁니다. 기와 한 줄을 뜯고 올라가면 속이 흙이기 때문에 걸어다녀도 미끄럽지 않고...]

소중한 국보 소실은 돌이킬 수 없다지만,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라도 원인과 책임소재를 정확하게 가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국보 1호 숭례문, 화려했던 화재 전 모습
 

[포토] 숯덩이로 변한 국보 1호 숭례문
 

관/ 련/ 정/ 보

◆ 지나치게 조심스러운 초기대응 탓에 다 태웠다

◆ 숭례문 대화재…5시간 동안 어떻게 왜 사라졌나?

◆ "국보 1호 숭례문? 보험금은 고작 9천500만 원!"

◆ 1년 전 네티즌이 '방화 가능성' 경고했건만..

◆ 안타까운 '숭례문 화재'에 네티즌도 분노 폭발

◆ '국보 1호' 숭례문, 방제 우선순위로는 '48호'

◆ "임진왜란도 견뎌왔는데" 숭례문 600년 수난사

◆ [이슈] 600년 역사 간직한 국보1호, 잿더미만 남아

 

[포토] 처참한 잔해만 남기고 무너진 숭례문
 

'아~!' 국보 1호 잃은 대한민국 '망연자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