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삶의 도움이 되는 알찬 정보가 가득한 코너입니다.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15일)도 김혜민 기자 나와 있습니다. 김 기자, 오늘 직장인들 정말 열심히 잘 들으셔야 될 것 같아요, 그렇죠?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가 오늘부터 시작이 되는데, 그런데 연말정산 이게 매년마다 뭐가 좀 바뀌잖아요, 올해는 어떤 게 좀 가장 많이 바뀌었습니까?
<기자>
네, 원래는 잠시 전인 6시쯤에 시작한다고 했는데요, 간소화 서비스, 제가 어젯밤에 들어가 봤더니 이미 열려 있었습니다.
어쨌든 지금 홈택스 홈페이지 들어가 보시면 소득공제, 세액공제에 필요한 증명 자료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작년보다 간편하게 바뀐 부분이 있습니다.
안경 구입한 비용, 그동안 따로 안경점 가셔서 영수증 받아와서 제출해야 했잖아요, 신용카드로 결제하거나 현금영수증 받아 두셨다면 이제는 간소화 시스템에 자동으로 자료가 뜹니다.
또 연봉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들은 월세액 공제가 됩니다.
그중에서도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면서 LH나 SH에 월세액 내시는 분들도 이 월세액이 간소화 서비스에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민간 주택은 제외되니까요, 이번에도 따로 계약서 사본이나 영수증 같은 거 챙기셔야 합니다.
이 외에도 실손의료보험 보험금, 긴급재난지원금 기부금도 이번 간소화 서비스에 추가됩니다.
<앵커>
올해는 좀 많이 간편해졌네요, 여러 가지들이. 올해에 가장 주목해서 봐야 될 부분이 신용카드 사용했던 게 언제냐 이거잖아요, 코로나 때문에 이게 언제 사용했는지에 따라서 공제율이 다르다면서요?
<기자>
네, 그렇죠, 이번에 정부가 코로나19 충격으로 공제 비율을 잠시 늘려줬을 때가 있었습니다.
먼저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연봉의 25% 넘게 사용을 하셔야 그 초과 금액부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건 같습니다.
초과 금액의 몇 %를 공제해주느냐가 달라지는 건데요, 신용카드 공제액은 지난해 다른 기간에는 15%였지만요, 3월에는 30%, 4월과 7월 사이는 80%까지 비율이 올라갑니다.
또 소득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의 상한선도 30만 원씩 높아집니다.
그러니까 연봉이 7천만 원 이하면 330만 원까지, 7천만 원~1억 2천만 원 사이는 280만 원까지 받으실 수 있고요, 1억 2천만 원을 초과하면 230만 원으로 낮아집니다.
직장인은 아무래도 신용카드 사용액이 연말정산 금액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난해 언제, 얼마나 썼는지가 이번에 중요해졌습니다.
<앵커>
그래도 전체적으로 보면 신용카드 사용한 거에 따라서 돌려받을 수 있는 세금이 올해는 조금 더 늘 것 같기는 합니다. 그리고 연말정산할 때 보면 잘 몰라서 틀리는 부분도 꽤 있잖아요, 복잡하니까. 어떤 부분을 잘 틀리는지 좀 정리해주시죠.
<기자>
국세청이 이번에 연말정산에서 많은 분들이 자주 틀리는 항목도 알려줬는데요, 소득이 있는 가족이 부모님이나 자녀를 부양가족 인적공제 기준에 드는 줄 알고 잘못 올렸을 때라고 합니다.
부양가족이 요건에 해당하려면 연간 소득금액 합계액이 100만 원보다 적어야 합니다.
단, 부양가족이 근로 소득만 있으면 이건 500만 원까지도 가능합니다.
그 외에 다른 소득이 있다면 모두 합쳐서 1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올해 실업급여 받으신 분들 많을 텐데요, 여기에 실업급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 맞벌이 부부가 자녀 1명을 중복으로 공제하기는 경우도 있고요, 형제, 자매들이 부모를 중복으로 올리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개인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을 과다하게 공제하거나, 1주택자인데도 월세액 공제 신청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합니다.
이런 '부당공제'는 가산세까지 물 수 있으니까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앵커>
그런데 김 기자, 올해는 이게 코로나 때문에 중간에 직장을 잃으신 분도 계실 거고, 그다음에 고용 시장이 좀 안 좋다 보니까 여러 직장을 다니셨던 분들도 계실 거란 말이에요. 이런 분들은 소득공세 이거 어떻게 받아야 되는 겁니까?
<기자>
연도 중간에 퇴직을 하셨다면, 회사가 퇴직하는 달의 급여를 지급할 때 미리 연말정산을 진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때는 기본 공제사항만 적용하게 되겠죠, 추가 공제는 5월 종합소득세 신고납부기간에 공제 항목을 추가하거나 경정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회사를 중간에 옮겼다면 지난해 12월 말에 근무한 회사에서 전 근무지 근로소득까지 합산해서 연말정산을 해야 합니다.
이직한 근로자는 전 회사의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등을 지금 근무하는 회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2곳 이상의 회사를 다니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월급을 더 많이 받는 근무지를 정하셔서 이 근무지 변동 신고서를 이 회사에 내야 합니다.
연말정산 기간에 너무 바빠서 서류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했더라도 추가로 청구할 기회는 있습니다.
5년 안에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경정청구를 하시면 됩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