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산엑스포는 대전 · 여수엑스포와 다르다"…어떻길래?

<앵커>

엑스포를 유치하기 위한 현장 분위기가 굉장히 뜨거운데요. 사실 엑스포라고 하면 과거에도 몇 번 열린 적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엑스포는 좀 다르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다른 것인지 정연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2010년 중국 상하이엑스포.

6개월간 7천308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는데, 경제 파급 효과는 110조 원으로 추산돼 투자 금액 대비 20배가 넘는 수익을 거뒀습니다.

[후진타오/당시 중국 국가주석 개회사 : 상하이 엑스포는 개발도상국 중에 처음으로 열리는 것입니다.]

엑스포 상징물이었던 12층짜리 붉은색 중국관은 중국 최대 미술관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일본은 오는 2025년 3번째 엑스포 개최를 앞두고 있습니다.

오사카 인공섬에 박람회장을 조성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는 25조 원 규모의 경제 효과를 거둬 경기 회복의 계기로 삼을 계획입니다.

엑스포는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3대 국제 행사로 꼽히는데, 5년마다 열리는 만국박람회 '등록 엑스포'와 규모와 기간이 짧아 위상이 한 단계 낮다고 평가되는 '인정 엑스포'로 나뉩니다.

1993년 대전과 2012년 여수에서 열렸던 엑스포는 '인정 엑스포'로, 부산은 '등록 엑스포'에 도전합니다.

기간이 6개월로 길어 월드컵과 올림픽보다 유무형의 경제 효과가 더 크게 추산됩니다.

직전 두바이엑스포의 경제 효과는 약 43조 원.

조직위원회는 이보다 더 많은 방문객 3천400여만 명에 61조 원이 넘는 경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민경/부산연구원 사회문화관광연구실 연구위원 : 도시 브랜드라든가 경쟁력 강화,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자 유치 기회 증가로 인해 시민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사후 행사장 활용 방안 등을 미리 준비해야 경제 효과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부산시는 박람회 장소인 북항 일대를 이후에도 문화와 비즈니스 해양 산업 공간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박기덕, CG : 김문성)

▶ 5천 명 모인 환영 행사…'2030 부산엑스포' 실사 돌입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