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권력 압박 속 극적 타결…정부 "법·원칙 따라 해결"

<앵커>

파업이 길어지면서 현장에 공권력이 투입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그걸 걱정하는 목소리도 많았는데, 앞서 보신 것처럼 주말을 앞두고 노사는 생각의 접점을 찾았습니다. 정부는 법과 원칙대로 대응한 결과라고 스스로 평가했습니다.

이 내용은 손기준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임금 30% 인상 등을 요구하며 지난달 2일 시작된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동조합의 파업.

지난달 22일부터는 건조 중인 원유운반선 점거 농성에 돌입했습니다.

대국민 담화와 대통령의 직접 메시지를 통해 정부는 엄정 대응 방침을 천명했습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7월 18일) : 철 지난 폭력, 불법적 투쟁 방식은 이제 일반 국민은 물론 대다수 동료 근로자들의 지지를 얻지 못합니다.]

[윤석열/대통령 (7월 19일) : 불법은 방치되거나 용인돼선 안 됩니다. 국민이나 정부나 다 많이 기다릴 만큼 기다리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행안부 장관과 경찰청장 후보자가 함께 거제 옥포조선소 현장 점검에 나서 공권력 투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윤장혁/민주노총 금속노조 위원장 (7월 19일) : 불법 운운하면서 공권력으로 진압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게 윤석열 정부입니다.]

거제 현지에서는 원청인 대우조선해양 노동자와 하청업체 노동자들 사이 노노 갈등도 불거졌습니다.

[대우조선 하청 투쟁 승리하자!]

[불법점거 철회하라!]

정부가 노사 문제 불개입 원칙으로 거리를 두는 동안, 협력사 대표단과 노동조합의 협상은 난항을 거듭해, 파업 51일째를 맞았습니다.

내일(23일)부터는 하청 노동자들을 지지하는 시민사회단체의 희망버스가 본격적으로 전국에서 집결하는 상황.

경찰이 강제 해산 시나리오를 짰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며 긴장감은 고조됐습니다.

결국, 파국은 막겠다는 협력업체 노사의 공감대 속에 급한 불을 끄는 수준의 합의안이 도출됐습니다.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노사분규를 해결한 중요한 선례를 만들었다고 자평했지만, 노동정책을 통한 근본적 문제 해결은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영상편집 : 하성원)

▶ 31일 만에 철창 밖으로…과제로 남은 '파업 후유증'
▶ 아직 손도 못 댄 '원-하청 구조'…근본 문제 바꿔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