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여가부 폐지, 찬반 여전히 '팽팽'…"남녀 대결 금물"

<앵커>

공약을 이행하려는 당선인 측의 이런 움직임에, 찬성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성평등 정책이 후퇴할 거라는 우려도 만만치가 않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엇갈리는 목소리들은 이성훈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오재현/여성가족부 폐지 찬성 : 있는 듯 마는 듯 이런 식으로 일 처리했던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고요. 여성가족부는 폐지하되 그냥 다른 여성 정책으로 계속 이끌어 나갈 수 있지 않겠느냐….]

[임채원/여성가족부 폐지 반대 : 갑자기 여성가족부를 폐지한다는 이유도 솔직히 잘 납득이 안 가고 여성가족부의 현재 쓰이는 예산들이 앞으로 어디에 쓰일지 불분명한 상태이기 때문에….]

시민사회 단체들도 대립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찬성하는 곳은 여성가족부의 정책이 여성 우대 정책에 가깝다며 이미 양성이 평등한 사회가 어느 정도 이뤄진 만큼 여가부의 존재 이유가 사라졌다고 말합니다.

[전혜성/바른인권여성 사무총장 (여가부 폐지 찬성) : 성평등한 사회가 된 시점에서 여성 정책에 있어서 우대 조치를 이제 더 이상 하면 안 된다. 그런 논의를 시작해야 되는 것이 지금 시점이고, 그것이 여가부 폐지 공약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반대하는 쪽은 고용이나 임금에서 성별 격차가 여전히 크고, 여성이란 이유로 폭력을 경험하고 있다며 여성 정책 콘트롤타워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이선희/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여가부 폐지 반대) : 경력 단절 여성 취업 지원이라든지 성인지 정책 분석 운영하는데 비용이 소요되고 있고, 여성 안전에 관한 피해자 지원, 권익 보호에 소요되고 있어요. 사실 꼭 필요한 업무이고….]

대통령 선거 전 SBS 여론조사에서도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습니다.

여가부를 유지하되 개편하자는 응답이 44.6%로 가장 많았고, 완전 폐지 33.9%, 현행 유지 15.9% 순이었습니다.

공약 그 이후 과정은 남녀 대결로 이어지지 않게 국민에게 설명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데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편집 : 이승열, VJ : 노재민)

▶ 여성가족부, 정권마다 명칭 · 기능 '변화'…예산 '논란'
▶ "여가부 기능 각 부처 분산, 인구 감소 대응은 '신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