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월화수목토토토" 주4일제 논의 불 지폈다…현실화는?

<앵커>

최근 대선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세우거나 언급하면서 주 4일 근무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주4일제를 도입하려면 노동 생산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근무시간이 줄면서 생기는 소득 감소 등 현실적으로 짚어볼 부분들이 많은데, 김혜민 기자가 주4일제와 관련한 내용들을 살펴봤습니다.

<기자>

대체공휴일 시행 뒤 직장인들이 몇 차례 '주4일제'를 간접 경험해보면서 부쩍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게다가 몇몇 대선 후보들이 '주4일 근무제'를 거론하면서 논의에 불을 지폈습니다.

[심상정/정의당 대선 후보 : 일하는 모든 시민들이 행복한 노동, 주4일제 시대를 열겠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해나가야 하기 때문에 우리 사회의 화두의 하나로, 공통의 논의 주제로 얘기를 해야 될 때가 왔다.]

주4일 근무제의 기본 개념은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나누기와는 조금 다릅니다.

나흘 동안 더 많이 일할 수 있어도 나머지 하루는 온전히 쉬자는 것입니다.

유럽연합에서 사회적 논의가 먼저 진행됐는데, 아이슬란드는 4년 동안 취업자 1%에 대해 실험적으로 시행한 결과 직원의 번아웃 증후군은 낮아졌고 업무 생산성은 높아졌다는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아직 주 52시간조차 정착되지 않은 중소기업도 많은데 공무원 또는 대기업 직원의 업무 환경만 좋아지며 양극화가 심해지거나, 임금이 줄어드는 부작용을 우려합니다.

[김종진/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저임금 노동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일상적인 교통, 주거, 돌봄, 사회보험료 등을 정부가 지원하는, 즉 이전소득 지원을 통해서….]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이상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노동 생산성을 높여야 하고 그래야 소득이 유지돼 일자리를 늘리는 선순환이 가능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