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AZ 안전성 문제 없다"…문 대통령 23일 접종

<앵커>

모레(23일)부터 만 65세 이상 고령층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시작됩니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는데, 문재인 대통령도 접종 첫날인 모레 이 백신을 맞습니다.

박수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립중앙의료원에서는 화이자 백신 2차 접종이 이틀째 진행됐습니다.

지난달 화이자 백신을 맞은 코로나19 치료 병원 의료진과 종사자 약 300명이 오늘 이곳에서 2차로 백신을 맞았습니다.

[박솔/대학병원 이비인후과 의사 : 2차 때는 (1차 접종 때 비해) 격렬하게 반응 있을 수 있으니까 힘들면 타이레놀 먹으라고 하셨어요.]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사람은 67만 6천여 명, 모레부터는 만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도 시작됩니다.

요양병원과 시설의 만 65세 이상 입소자와 종사자 등 37만 6천여 명이 우선 접종 대상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도 오는 6월 G7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습니다.

정부는 앞서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유효성을 판단할 임상 자료가 부족하다며 접종을 보류했다가, 영국 등에서 고령층 유효 결론이 나오면서 접종 시행으로 선회했습니다.

최근에는 혈관에서 피가 굳는 혈전 증상이 보고됐는데, 유럽의 약품안전청과 세계보건기구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혈전 사이 인과관계가 없다는 의견이 도출돼 국내 접종계획에도 변동은 없을 전망입니다.

예방접종전문위원회도 같은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세균/국무총리 : 해외의 평가 결과와 국내 이상반응 사례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다만 덴마크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후 혈전증이 나타난 접종자가 추가로 사망하는 등 국내외에서 혈전 생성 보고가 이어지고 있어 각국에서 추가 분석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박지인, CG : 이연희)

▶ "목욕장에서 누적 1,200명"…인원 · 시간 제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