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보라서'…문화재청과 협의하는 사이 다 탔다

<8뉴스>

<앵커>

그런데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그것도 초저녁에 불이 났는데 어떻게 이렇게까지 됐을까요? 문화재라는 것을 의식해서 과감한 초기 진화에 나서지 못했던 게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유재규 기자입니다.

<기자>

현장에 도착한 화재 진압팀은 지나치게 조심스러웠습니다.

목조 건물은 10분 만 지나면 걷잡을 수 없이 번지기 때문에 보통 일일이 해체하면서 불을 끕니다.

하지만, 숭례문은 국보 1호다 보니 문화재청과 협의를 하느라 본격적인 진압에 들어가지 못한 것입니다.

화재 발생 1시간쯤 뒤에야 기와를 해체하고 진화에 들어가기로 했지만, 불이 난 곳을 제대로 겨냥하지 못한 채 마구잡이로 뿌린 물이 이미 얼어붙어 해체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습니다.

겉으로는 연기만 나는 '훈소상태'를 불길이 잡힌 것으로 착각한 것도 잘못된 초기 대응을 초래했습니다.

[이동명/경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좀 더 빠르게 대처를 했더라면... 예를 들면 기와를 들어내고 거기에 물을 조달했으면 저런 붕괴와 같은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을 거라고 봅니다.]

실제로 재작년 수원 화성 서장대의 경우 신속한 대응으로 붕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김충영/수원화성사업소장 : 지붕의 기와를 해체하고 구멍을 천장으로 뚫어 거기서부터 이제 저희가 살수를 함으로 해서 불을 완전히 소화시킬 수가 있었는데.]

화재 진화에선 처음 5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미흡했던 초기 대응이 국보 1호 숭례문의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국보 1호 숭례문, 화려했던 화재 전 모습
 

[포토] 숯덩이로 변한 국보 1호 숭례문
 

관/ 련/ 정/ 보

◆ 지나치게 조심스러운 초기대응 탓에 다 태웠다

◆ 숭례문 대화재…5시간 동안 어떻게 왜 사라졌나?

◆ "국보 1호 숭례문? 보험금은 고작 9천500만 원!"

◆ 1년 전 네티즌이 '방화 가능성' 경고했건만..

◆ 안타까운 '숭례문 화재'에 네티즌도 분노 폭발

◆ '국보 1호' 숭례문, 방제 우선순위로는 '48호'

◆ "임진왜란도 견뎌왔는데" 숭례문 600년 수난사

◆ [이슈] 600년 역사 간직한 국보1호, 잿더미만 남아

 

[포토] 처참한 잔해만 남기고 무너진 숭례문
 

'아~!' 국보 1호 잃은 대한민국 '망연자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