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자동 군사 개입은?

<앵커>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내일(19일) 정상회담 이후,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협정을 맺을 걸로 보입니다. 다만, 우리 정부가 걱정했던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은 빠진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습니다.

정상회담의 의제는 김아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러시아 매체가 오늘 공개한 푸틴 대통령의 지시 문건입니다.

북한과 러시아 간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협정을 체결하라고 지시하는 내용인데, 작성 시점은 북한으로 출발하기 전, 어제 자입니다.

크렘린궁은 이 협정이 1961년 유사시 자동군사개입 조항이 포함된 조소 조약과 2000년 북러 조약을 대체하는 협정이 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나라는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입니다.

한국과는 2008년부터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고 북한과의 협정에는 포괄적이라는 의미를 더하는 건데 장기적으로 보다 광범위한 분야에서 협력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어서 러시아로서는 나름의 성의를 보였다는 평가입니다.

하지만 한미동맹 같은 군사 동맹 수준과는 격이 다른 것으로 정부가 우려했던 유사시 자동군사개입 조항도 거론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승수/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러시아 전문가) : 포괄적이라고 하는 용어 자체가 갖는 것은 당연히 그 안에 군사협력이 들어가겠지만, 자동군사개입조항이나 이런 것들이 들어갈 수는 없겠죠. 동반자 관계에.]

노동신문에는 푸틴 대통령의 기고문이 실렸습니다.

푸틴은 여기서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결제 체계를 발전시키고 비합법적 제한 조치들을 공동으로 반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유라시아에서 평등하고 불가분리적인 안전구조를 건설하겠다고 밝혀 북한에 대한 안전 보장이 어떤 수준으로 구체화될 지 주목됩니다.

(영상편집 : 박춘배)

▶ '북-러 밀착'에 경고…"미 안보 최대 위협"
▶ 밤늦게 도착하는 푸틴…우주공사·철도공사 사장 수행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