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감사 팁' 도입한 카카오택시…승객들 '줄까 말까'

<앵커>

카카오모빌리티가 최근 카카오택시를 타는 손님들이 기사에게 '팁'을 줄 수 있는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카카오는 기사들의 요구를 수용했다는 입장인데,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정준호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기자>

지난 19일부터 팁 기능이 도입된 카카오택시를 직접 이용해 봤습니다.

일반 호출보다 요금이 비싼 블랙, 모범, 벤티, 블루 등이 적용 대상입니다.

목적지에 도착한 뒤 서비스 별점을 '만점'으로 주면 1천원, 1천500원, 2천원 팁을 줄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카카오택시 팁

액수를 선택하면 탑승 요금에 더해 결제됩니다.

[구종복/택시 기사 : (받게 되면) 저희들은 당연히 고맙게 생각하죠. 강요를 한다고 그러면 당연히 부담이 되겠죠. 그러나 저희들은 전혀 그런 것을 바라지는 않고 있습니다.]

팁 수익은 카드 수수료를 제외하고는 모두 기사에게 돌아갑니다.

[최원천/택시 기사 : 금액이 크고 적은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아 내가 일 열심히 잘했구나 하는 생각에 좋기야 하겠죠.]

이용자 반응은 엇갈립니다.

서비스 질이 향상될 수 있다는 의견과,

[김현호/경기 고양시 : 기꺼이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기사분들 어렵게 하시니까 좋을 것도 같아요.]

결국 이용자들에게 택시비 부담이 전가될 거라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카카오택시 이용자 : 안 줄 거 같아요. 일단 택시비는 너무 비싸고요. 카카오와 그쪽에서 지불하는 게 아니라 손님에게 팁을 지불하겠다고 하는 것은 내는 사람이 없을 것 같은데….]

팁 기능은 아이엠이나 타다 같은 중소업체에는 이미 도입돼 있지만, 월 이용자 수 1천100만이 넘는 카카오택시는 파급력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수익이 발생하는 가맹택시 가입률을 올리기 위한 수단이라는 해석도 나오는데, 카카오 측은 상생 협의과정에서 기사들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라며, 팁 강요 행위가 적발되면 팁을 받을 수 없게 차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최은진)

▶ 선의 vs 부담 전가…팁 문화 발달한 미국도 '피로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