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반도체 힘으로 버틴 3분기…4분기 이후 '암울'

반도체 힘으로 버틴 3분기…4분기 이후 '암울'
올해 3분기 상장사들의 실적이 작년 동기보다는 다소 나아졌지만 4분기 이후 전망은 비관적입니다.

3분기는 '대장주' 삼성전자가 사상 최대 실적을 내며 버텼지만 반도체 경기도 4분기부터 하강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3분기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은 1천403억원, 영업이익은 130조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각각 5.47%, 7.88%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를 빼면 영업이익은 오히려 0.10% 감소했습니다.

반도체의 힘으로 3분기 실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이지만 나머지 기업들은 실제로는 부진했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업종별로 3분기 개별기준 누적 순이익을 살펴보면 기계와 운수·창고, 화학 등 9개 업종에서 감익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전기·가스의 경우 작년 동기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3분기 부진의 가장 큰 이유로 미중 무역분쟁을 꼽았습니다.

미국과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입장에서는 기업 설비와 투자, 소비 지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기업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입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일 현재 3분기 실적(연결기준)을 발표한 국내 증시 상장사 114곳 중 과반수인 66곳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습니다.

특히 영업이익이 예상치에 10% 이상 미달한 '어닝 쇼크'(실적 충격) 기업만도 37곳에 달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4분기 이후입니다.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점차 하향 조정되는 데다 버팀목인 반도체 경기마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9%, 내년은 2.8%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한국 경제의 잠재 성장률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