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취임하기 전부터 야당과 갈등을 빚었던 이동관 방통위원장은 역대 가장 짧은 기간인 95일 만에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습니다. 이 위원장은 자신이 사퇴하더라도 정부의 정책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내용은 전병남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지난 8월, 방통위원장 후보자 지명 직후.
언론 장악용 인사라는 야권의 비판에 이동관 위원장은 이렇게 반박했습니다.
[이동관/방송통신위원장 (지난 8월 1일) :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또 장악해서도 안 된다. 다만, 자유에는 반드시 책임이 뒤따라야 합니다.]
취임 뒤 이 위원장은 핵심 정책으로 가짜 뉴스 척결을 내세웠습니다.
'원스트라이크 아웃' 제도 입법을 주장했고, 포털 뉴스 서비스에 대한 사실 조사 등도 착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방통위원 2인 체제로 각종 안건을 의결했고, 민주당은 합의제 기구 설립 취지와 방송법 위반이라며 탄핵 카드를 거론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겠다며 야권 우위였던 공영방송 지배 구조 개편을 시도했고, 김만배 허위 인터뷰 의혹 건을 가짜 뉴스로 규정하고 방송사에 보도 경위 자료를 요구하자 야당은 강력 반발했습니다.
[정필모/민주당 의원 (지난 10월 10일) : 방통위가 위법적이고 위헌적인 행위를 했으면 다 책임을 지셔야 합니다.]
[이동관/방송통신위원장 (지난 10월 10일) : 책임지겠습니다.]
이 위원장과 여당, 대통령실은 야권이 주장하는 탄핵 사유는 요건도 갖추지 못했다고 반박했지만, 수적 우위로 탄핵안 가결을 피할 수 없게 되자 결국 사퇴했습니다.
이 위원장은 자신이 물러나도 정책 기조에는 변함이 없을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이동관/방송통신위원장 : 어떤 자리에 있더라도 대한민국의 글로벌 미디어 강국 도약과 윤석열 정부의 성공 위해 제 역할을 다할 것입니다. 언론 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입니다.]
대통령실은 업무 공백를 최소화하기 위해 새 위원장 후보를 신속히 지명한다는 계획이지만, 청문회 일정까지 고려하면 내년 초에나 임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채철호)
▶ 이동관 전격 사의 표명에 수리, 배경은?…민주당 전략은
▶ "'교체 카드'로 방통위 마비 최소화"…"뺑소니 허용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