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위 공직자 절반 '다주택자'…서울·강남 3구 집중

[경제 365]

국회의원 등 선출·임명된 고위 공직자의 절반 가까이가 다주택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리더스인덱스가 4급 이상 고위직 2천500여 명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48.8%가 2채 이상, 17.8%는 3채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재산 5조 7천억 원 가운데 건물 자산이 3조 3천억 원으로 약 60%를 차지했고, 이 가운데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4천500여 채였습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비중이 58.9%로 가장 높았고, 가액 기준으로는 1조 7천700억 원에 달해 건물 자산의 4분의 3을 차지했습니다.

직군별로 살펴보면 정부 고위관료가 평균 1.89채로 보유 주택 수가 가장 많았고, 지자체장과 공공기관·국책 연구기관 고위직은 1.7채 안팎이었습니다.

국회의원은 평균 1.41채를 보유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주택은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 3구에 집중돼 있었습니다.

서울 소재 주택은 3분의 1 정도지만, 높은 집값이 반영되면서 가액 기준으로는 전체의 절반을 훌쩍 넘는 57.6%에 달했습니다.

---

전세 시장에서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대위변제가 3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HUG의 대위변제 금액은 844억 원, 대위변제 건수는 461건으로 집계되며, 2022년 이후 가장 적은 규모였습니다.

보증사고 자체가 빠르게 줄고 있는 영향이 큰데, 전세 보증사고 액수는 올해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 연속 1천억 원 아래를 유지했고, 1월부터 10월 누적으로는 1조 816억 원, 사고 건수는 5천800여 건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배경에는 지난해 전세금 대환 보증 기준을 부채비율 100%에서 90%로 강화한 점이 꼽힙니다.

*이 기사는 AI 오디오로 제작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