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은 직권남용 및 범인도피 혐의의 피의자로 해병특검 수사선상에 올랐다.
채상병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특검팀이 정점인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오는 8일 피의자로 출석해 조사받으라고 통보했습니다.
이명현 특검팀의 정민영 특검보는 오늘(4일) 정례 브리핑에서 "어제 윤 전 대통령에게 8일 오전 10시에 출석하라는 요구서를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게 지난달 23일 출석하라고 한 차례 요구했으나, 윤 전 대통령은 변호인단의 재판 일정을 이유로 불응했습니다.
이후 특검팀은 변호인단과 일정을 다시 조율해 왔으며, 재판 상황 등을 감안해 출석일을 토요일로 지정했습니다.
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의 출석 가능성에 대해 "변호인 쪽에서도 아예 안 나오겠다는 입장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오는 8일 출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출석 요구에 재차 불응할 경우 대응책에 대해선 "다시 통지하고 이후 절차를 밟아나갈 것"이라면서도 체포영장을 청구하는 방안까지는 아직 검토하고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직권남용 및 범인도피 혐의의 피의자로 채상병 특검 수사선상에 올랐습니다.
그는 채상병 수사외압 의혹의 출발점인 'VIP 격노'의 당사자로, 대통령실 및 국방부에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혐의자에서 제외하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습니다.
특검팀은 사건 관련자들로부터 지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채상병 사건 관련 보고를 받은 윤 전 대통령이 크게 화를 냈고, 이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의 통화에서도 크게 질책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국방부의 사건 이첩 보류, 기록 회수, 박정훈 대령에 대한 항명 수사 등 일련의 외압 정점에 윤 전 대통령이 있다는 것이 특검팀 판단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채상병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선상에 올라 출국 금지돼 있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호주 대사로 임명해 도피하도록 도왔다는 의혹도 있습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조사해야 할 부분이 많아 여러 차례 소환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특검팀은 공수처의 채상병 사건 수사 방해 의혹과 관련해 오동운 처장과 이재승 차장, 김선규·송창진·박석일 전 부장검사 등을 최근 잇따라 소환해 조사했으며, 이를 토대로 추가 소환 대상자를 선별하고 있습니다.
임 전 사단장 불송치 의혹과 관련해 경찰국가수사본부와 경북경찰청 등의 관련자들에 대해서도 조만간 소환 조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채상병 순직 책임자로, 업무상 과실치사 등 혐의로 구속된 임 전 사단장 역시 내일 오전 10시 다시 소환됩니다.
정 특검보는 "휴대전화 포렌식 선별 절차를 완료해 그 내용들을 조사할 예정"이라며 "구명로비와 관련한 조사도 일부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